항목
-
-
씨앗들의 ‘멀리 뛰기’ 올림픽퍼트려 종족을 번성시키려면 활발하게 활동하는 편이 낫다. 식물은 어떤 전략으로 자신의 유전자를 널리 퍼트리고 있을까. 봄에 피는 민들레는 낙하산의 원리를 이용한다. 민들레의 꽃이 지면 흰 갓털이 씨앗에 붙어 낙하산 같은 모양으로 하늘을 둥둥 떠다닌다. 만약 씨앗에 갓털이 없다면 그 씨앗은 민들레꽃이 피어...
-
풀흰나비 알락흰나비공작나비, 팔랑나비류, 부전나비류 등 개망초 ・흡밀하는 나비 : 큰주홍부전나비 등의 부전나비류, 까마귀부전나비류,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등 민들레류 ・종류 : 민들레, 서양민들레 등 ・흡밀하는 나비 : 줄점팔랑나비 등의 팔랑나비류, 작은주홍부전나비, 노랑나비, 네발나비 등 토끼풀류 ・종류 : 토끼풀, 붉은토끼풀...
- 분류 :
- 흰나비과(Pieridae) > 흰나비아과(Pierinae)
- 학명 :
- Pontia daplidice (Linnaeus, 1828)
- 분포지역 :
- 한반도(제주도, 남해안 지역 제외), 북아프리카, 유럽, 중국 중 · 동북부, 연해주, 일본
- 출현시기 :
- 4월 중순~5월(춘형), 6~10월(하형) 〈연 3~4회 발생〉
-
-
존재의 지평을 넓힌 지도 지도, 생각의 기준을 뒤집다기본 지도를 갖게 된다. 가본 적이 있는 곳과 현재의 위치를 분간하는 것이다. 식물도 씨앗을 퍼뜨리고 뿌리를 내리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지도를 만들어간다. 민들레 홀씨는 얼마나 멀리 이동할까? 사실 그들이 평균 이동하는 거리는 우리의 기대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우리는 민들레 홀씨가 바람을 타고 훨훨 하늘...
-
-
똑똑한 식물의 SOS살충 구역에서 벌레가 사라지자 달맞이꽃에서는 변화가 일어났다. 첫 변화는 뜻밖이었다. 천적인 벌레들이 없어졌는데도 달맞이꽃의 수가 줄어든 것이다. 민들레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달맞이꽃 종자가 싹트는 걸 방해했기 때문이었다. 민들레는 대조군에서보다 곱절로 많아졌다. 민들레 또한 그동안 수많은 딱정벌레와...
-
-
강신재 康信哉1950년대에는 「안개」(1950), 「포말」(1955), 「해방촌 가는 길」(1957), 「절벽」(1059) 등 단편소설에 주력하였고, 1960년대 이후에는 『임진강의 민들레』(1962), 『이 찬란한 슬픔을』(1964), 『파도』(1972) 등과 같은 장편소설과 『명성황후 민비』(1991) 등의 역사소설을 창작하였다. 강신재는 사회와 역사를...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대표작 :
- 희화, 여정, 젊은 느티나무, 파도, 황량한 날의 동화, 그래도 할 말이, 청춘의 불문율, 임진강의 민들레, 이 찬란한 슬픔을, 오늘과 내일, 그대의 찬 손, 신설, 바람의 선물, 숲속엔 그대 향기가, 유리의 덫, 레이디 서울, 서울의 지붕 밑, 마음은 짚시, 밤의 무지개, 불타는 구름, 우연의 자리, 모험의 집, 지옥현란, 천추태후, 사도세자빈, 신사임당, 문정왕후 아수라, 사랑의 묘약, 숲에는 그대 향기, 명성왕후 민비, 혜경궁 홍씨, 광해의 날들, 대왕의 길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만화의 눈으로 현실을 보다, 이희재1983. <보물섬>에 『골목대장 악동이』 연재 1986-8. <만화광장>에 『간판스타』, 『성질수난』, 『현상금을 따먹는 사나이』,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 『민들레』 등 발표 1988. 『새벽길』 발표 1988.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출간 1990. 『한국의 역사』 1992. 이윤복 원작의 『저 하늘에도 슬픔이』(일본 소봉...
-
196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강신재 섬세하고 감각적인 문체로 인간 심리를 그려내다갈등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세련된 감각으로 묘사하는 데 힘을 기울이던 작가는 ‘을유문화사’가 기획한 전작 장편 소설의 하나로 내놓은 『임진강의 민들레』에서 전에 없이 사회 의식과 현실 인식을 추구함으로써 자신의 문학적 영토를 넓히려는 시도를 한다. 『임진강의 민들레』는 전쟁이 한 가족 구성원들의 몸과...
- 출생 :
- 1924년
- 사망 :
- 2001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