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그나 카르타

다른 표기 언어 Magna Carta

요약 반포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부터 압제에 항거하는 상징과 구호로 인식되었으며, 이후에도 사람들은 자신들의 권리가 위협받을 때마다 대헌장을 자신들의 보호 장치로 해석했다.
1628년 권리청원과 1679년 인신보호령도 1215년 헌장의 제39조항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다. 미국의 연방헌법과 주헌법은 역시 마그나 카르타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는 이념을 담고 있다.
왕의 재정적 강요가 심화되면서 귀족들은 국왕에게 자신들의 권한을 엄숙히 선포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서게 되었고 이를 기초로 최종적 대헌장이 만들어졌는데 서문과 63개의 조항으로 되어 있다.
1215년 헌장의 '원본'으로는 4가지가 현존하는데, 2가지는 각기 링컨 대성당과 솔즈버리 대성당에 있고 나머지 2가지는 대영박물관에 있다.

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

대헌장이라고도 하며, 영국 존 왕이 귀족들의 강요에 의해 서명한 국왕의 권리를 담은 문서

ⓒ wikipedia | Public Domain

1216, 1217, 1225년에 개정되었다.

헌장은 그 시대의 사람들보다 후세 사람들에게 더 큰 의미를 지녔다.

대헌장은 반포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부터 압제에 항거하는 상징과 구호로 인식되었으며, 이후에도 사람들은 자신들의 권리가 위협받을 때마다 그에 맞서 대헌장을 자신들의 보호장치로 해석했다. 잉글랜드의 권리청원(1628)과 인신보호령(1679)은 "모든 자유민은…… 동등한 자격을 갖는 사람들의 법률적 판단이나 국법에 의하지 않고는…… 구속되거나 재산의 몰수를 당하지 않는다"고 1215년 헌장의 제39조항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다.

미국의 연방헌법과 주(州)헌법은 마그나 카르타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 이념을 담고 있으며 구절들을 직접 인용까지 하고 있다.

이전의 잉글랜드 왕들인 헨리 1세, 스티븐, 헨리 2세 등도 귀족들에게 약속이나 양보를 하는 내용의 헌장들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들은 국왕에게 요구해 강제로 얻어낸 것이기보다 하사받은 것이었고 헌장의 글귀도 지극히 일반적이었다. 더욱이 12세기 내내 행정권이 꾸준히 성장함에 따라 왕에 비해 귀족들의 지위는 상대적으로 약해졌다.

그러나 제3차 십자군 원정의 자금과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6세에게 포로가 된 리처드 1세의 몸값을 마련하기 위해 중과세가 필요해지자 그 뒤를 이은 왕들은 점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존 왕은 왕권 경쟁자의 도전과 자기 소유의 노르망디 공작령에 대한 프랑스의 공격으로 더욱 입지가 약해졌다. 1199년, 1201년, 1205년에 존 왕 휘하의 귀족들은 자신들의 '권리'에 대한 보장을 약속받아야 할 지경까지 이르렀다. 1204년 잉글랜드가 노르망디를 잃고 난 후 존 왕의 재정적 강요는 더욱 심해졌으며, 교황 인노켄티우스 3세와 분쟁을 벌이는 동안(1208~13)에도 그는 잉글랜드 교회에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다.

따라서 1213년 이후 캔터베리 대주교 스티븐 랭턴이 귀족들의 불만을 모아 국왕에게 자신들의 권한을 엄숙히 선포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귀족들의 헌장'(Articles of Barons)이라고 알려진 문서가 작성되었고 이 문서를 원본으로 러니미드(윈저와 스태인스사이템스 강변, 오늘날 서리 주에 있음)에서 최종적인 대헌장이 기초(起草)되어 1215년 6월 15일 존 왕의 날인을 받았다.

조목조목 나누어 쓴 것은 아니지만 대헌장은 보통 서문과 63개의 조항으로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내용은 대체로 9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교회에 관한 것으로 교회가 '자유로워야 한다'는 선언을 담고 있다. 둘째, 특별히 왕실로부터 직접 봉토(封土)를 받는 사람들에 관한 봉건법률을 밝히고 있으며, 셋째, 그들에게서 다시 봉토를 분배받는 봉신들에 관한 봉건법률을 다루었다. 넷째, 도시·교역·상인들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다섯째, 법률과 사법제도의 개혁에 관해 특별히 많은 내용이 할당되어 있다. 여섯째, 왕실 관리들의 행동에 관한 제한규정이 있다.

일곱째, 왕실 소유의 삼림(森林)에 관한 것이며, 그 다음에는 존 왕이 거느린 외국인 용병 해산을 요구하는 것을 비롯해 즉각 실행되어야 할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 부분은 왕이 이 헌장을 준수할 것을 보증하는 내용으로서, 이에 따르면 왕이 헌장을 크게 위반할 경우 궁극적으로 25인의 귀족평의회가 그에게 전쟁을 선포할 권한을 갖도록 되어 있다.

존 왕의 어린 아들 헨리 3세의 고문관들은 1216년과 1217년에 헌장을 개정하고 1215년의 정치적 상황에만 관련이 있는 내용들은 전부 빼버렸다.

삼림과 관련된 내용은 1217년 별도의 삼림헌장으로 빠져나왔다. 1225년 헨리 3세가 성년이 된 이후 친히 개정한 헌장은 1217년의 것과 크게 다를 것이 없었지만 아마도 당시 상황에서 헌장을 그대로 지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이미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1225년의 헌장은 헨리 3세가 1264년에 다시 개정했고, 1297년에는 에드워드 1세가 '점검'해 자신의 새로운 두루마리 법령집에 수록했지만 갈수록 현행법이라기보다는 기본원칙을 담은 전거(典據)의 성격을 띠었다.

1215년 헌장의 '원본'으로는 4가지가 현존하는데, 2가지는 각기 링컨 대성당과 솔즈버리 대성당에 있고 나머지 2가지는 대영박물관에 있다. 더럼 대성당에는 1216년, 1217년, 1225년의 헌장들이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마그나 카르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