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소 告訴지방검찰청을 거쳐 관할 고등검찰청장에게 항고할 수 있고, 항고기각처분에 대해서는 검찰총장에게 재항고할 수 있다. 공무원의 권리행사 방해, 수사공무원의 불법체포·불법감금·폭행·가혹행위 등에 관하여 고소한 경우 검사가 기소하지 않으면, 고소인은 일정한 기간 내에 그 검사가 속하는 고등검찰청에 대응하는...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제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
고발 告發또는 지청을 거쳐 관할 고등검찰청장에게 항고할 수 있고, 항고기각처분에 대하여는 검찰총장에게 재항고할 수 있다. 공무원의 권리행사 방해, 수사공무원의 불법체포 · 불법감금 · 폭행 · 가혹행위 등에 관하여 고발한 경우 검사가 기소하지 않으면, 고발인은 일정한 기간 내에 그 검사가 속하는 고등검찰청에 대응...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
-
법정 및 국회 모욕죄 contempt입법권을 법적으로 보장한다는 데 있다. 입법권이나 사법권은 민사적·형사적 불법행위를 처벌함에 있어 국가가 행사하는 권력을 제한할 만한 일반적인 안전장치...경우가 많다. 법정모욕은 법원의 면전에서 심리를 방해하는 직접 모욕과, 법원 외에서의 심리 방해나 법원의 명령에 대한 불복종과 같은 행위를 포함하는...
-
포청천 포희인(包希仁), 包靑天관료들의 불법행위를 막기 위한 정책을 제안했으며, 황제가 측근이나 관료들에게 하사한 특권을 거두어들일 것을 건의했다. 특히 1050년 포증은 인종의 귀비 장씨의 인척인 장요좌(張堯佐)가 능력에 맞지 않게 삼사호부부사를 거쳐 지간원 등의 여러 고위 관직을 동시에 맡는 것이 부당하다는 상소를 올렸다. 처음에...
- 출생 :
- 999년
- 사망 :
- 1062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