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병 淨甁, Kundika
    뚜껑이 있는 주둥이가 나와 있는 독특한 형태라고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주로 청동이나 도자기로 만들어졌으나 토기나 금·은을 사용하기도 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의 융성과 함께 특히 많이 제작되었는데 장식문양에서 독특한 은입사(銀入絲) 기법을 이용하여 포류수금무늬[蒲柳水禽紋]나 유로수금무늬[柳蘆水禽紋...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등놀이 연등놀이
    관등놀이라고도 한다. 등놀이를 성대하게 시작한 것은 통일신라 때부터로 정월 대보름에 황룡사의 백고좌대회(百高座大會)를 들 수 있다. 불교가 융성했던 고려시대에 태조는 등놀이를 포함한 팔관회와 연등회를 국가적으로 장려했다. 연등회와 팔관회를 할 때에는 노래 부르고 춤추기 위해 야외무대를 만들고 이 무대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식행사 , 불교 , 종교
  • 과거제 科擧制
    관리를 뽑는 제도로, 중국에서 587년 수(隋) 문제(文帝)가 처음 실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958년(고려 광종 9)에 광종의 왕권강화의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고려시대의 과거제도는 크게 제술과(製述科)· 명경과(明經科)· 잡과(雜科)· 승과(僧科)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제술과와 명경과를 중시해서 양대업이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 일반
  • 물론 해학적이며 풍자적인 속담들이 나타나기도 했다. (1) 고대: 갓의 역사는 멀리 고대에 소급되며, 그 시초형(始初形)은 경주 금령총(金鈴塚)에서 출토된 입형...벗고 소립(素笠)을 썼다는 기록이 있어 갓은 삼국시대에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고려: 고려시대에 와서는 관리들의 관모로 제정됨으로써 신분...
    시대 :
    조선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화폐 貨幣, money
    이것은 가격과 가치가 표현되는 수단으로서 사람과 사람, 나라와 나라 사이를 오가면서 거래와 무역의 편의를 도모하고 부를 축적하는 주요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공거제 貢擧制
    고시관인 지공거가 과거시험을 관리하고 점수를 매겨놓으면, 이를 참고로 국왕이 최종 합격자를 결정하는 제도이다. 고려시대는 과거 시험기일에 앞서서 지공거를 임명했다. 그러면 시험 전날 오후 지공거가 시험문제를 써서 봉해 가지고 입궐하여 국왕에게 바치고, 국왕은 봉한 것을 뜯어 시험문제를 검토한 뒤 검인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된장
    은 ≪삼국사기≫의 신문왕 폐백 품목에 등장하며, ≪해동역사 海東繹史≫에도 발해에서 된장을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시대의 된장은 구체적인...것으로 추정되는 일본의 장제조법도 이와 같으므로 우리 나라의 장도 같은 제법에 의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시대에도 구체적인 문헌을 찾을 수 없다...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식생활
  • 삼국 및 고려 시대의 과학기술
    과학혁명과 지식혁명, 시민혁명을 낳았다. 서양에서 금속 활자 인쇄술이 갖는 역사적 의미가 이러하다면 한국에서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인...지식의 대중적 확산에 금속 활자가 큰 기여를 하지 못하였다. 고려 시대의 사람들은 훌륭한 인쇄술을 가지고 외세의 침략에 맞서 부처의 힘을 빌려 난국...
    도서 위키백과
  • 형사소송 刑事訴訟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재판기관으로 중앙에 의형대(義刑臺)라는 기관을 두고(뒤에 尙書刑部 · 典法司 · 刑曹로 명칭이 바뀜), 지방에는 지방행정관을 겸임한 염문사(廉問使)를 두어 지방의 재판사무를 감독, 수행하는 왕권본위의 규문절차였다. 조선시대의 재판기관으로는 중앙에 의금부(義禁府) · 형조(刑曹...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공민왕시역사 恭愍王弑逆事件
    1351년 왕위에 오른 공민왕은 원명교체라는 대륙정세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고려의 중흥을 꾀하는 많은 개혁을 시도했다. 그러나 1365년 왕비인 노국대장공주가 죽자 실의에 빠져 모든 국사를 신돈에게 맡기고 정사를 소홀히 했다. 1371년에는 실정을 거듭하는 신돈마저 귀양보내 사사했다. 공민왕은 1372년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고려
  • 경연 경악, 經筵
    달랐는데 고려 예종과 인종 때의 경연 강의는 한림원(翰林院)의 학사들과 보문각(寶文閣)의 학사·대제(待制) 및 다른 관청에서 선발한 학자들이 담당하였다. 원의 간섭을 받아 경연이 서연으로 격하된 뒤의 직제를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우왕과 창왕 때 영사(領事)·지사(知事)·시독 등의 관직이 있었는데 그것은 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교 , 종교
  • 고려와 조선의 보루, 강화도
    전등사를 비롯한 여러 사찰들의 연원을 고구려시대로 소급시켰다. 강화도는 고조선과 고구려로 이어지는 역사적 전통의 고장으로 탈바꿈했다. 또한 내륙에서...산성이 만들어졌으며 해안가에는 제방을 겸한 외성이 지어졌다. 그리고 고려시대 최대의 문화적 업적인 팔만대장경이 간행되었다. 하지만 지배층이 강화도에서...
    시대 :
    1232년~1876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