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북국시대 南北國時代고병익(高柄翊)·이기백(李基白)이 제기한 것으로, 발해사가 한국사에 속한다는 사실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남북국시대라는 것이 왕조에 따른 시대구분이기 때문에 역사서술에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다른 기준을 가지고 시대구분을 한다고 하더라도 왕조에 따른 시대구분 방식은 역사 서술의...
- 시대 :
- 고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고대사
-
통일신라시대에서 남북국시대로년간 대립적이었다”라고 하는데 오히려 두 나라 사이에 교류의 증거들이 많으니 이를 삭제하고 교류의 자료로 대체해야 한다고 했고, 발해가 우리 역사라면 남북국시대란 용어를 써야 한다고 했다. 마침 이 제안은 대립보다는 교류를 지향하는 역사 서술과도 맞아떨어지는 것이었으므로, 오늘날까지 교과서에 이어지게...
-
-
발해 진국(振國), 渤海발해고(渤海考)』를 통해 발해를 통일신라와 함께 남북국으로 부르며, 한국사에서 남북국시대를 설정하게 되었다. 한국에서의 실증적 연구는 19세기 중반부터...신채호 · 장도빈 · 권덕규 · 황의돈 등에 의해 발해를 한국사로 이해하는 역사 인식이 발전하였다. 광복 이후에는 분단으로 남북한에서 발해사 연구가...
- 시대 :
- 고대/남북국/발해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삼국시대 삼국시기, 三國時代나라가 정립(鼎立)하였던 한국사의 한 시기를 의미한다.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처럼 한국사 속의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한 시대 구분 용어...를 통해 고려보다 앞선 왕조를 삼국으로 제시하고, 그의 역사를 기전체(紀傳體)의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신라와 고구려 그리고 백제의 왕조사를 각기...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고대사
-
역사의 시작과 고대 열린 시각으로 한민족의 역사 살펴보기한국사는 단일종족에 의한 단일문화가 고대부터 줄곧 이어져 온 단일민족의 역사로 보아서는 안 되며, 열린 시각으로 한민족의 역사가 형성되어가는 과정을...성립 이전까지를 고대라고 구분하며, 고대는 다시 상고시대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로 세분한다. 한국사는 고대라는 광범위한 시간 속에서 복잡하고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