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공거제

다른 표기 언어 貢擧制

요약 고려시대의 과거시험관제.

고시관인 지공거가 과거시험을 관리하고 점수를 매겨놓으면, 이를 참고로 국왕이 최종 합격자를 결정하는 제도이다.

고려시대는 과거 시험기일에 앞서서 지공거를 임명했다. 그러면 시험 전날 오후 지공거가 시험문제를 써서 봉해 가지고 입궐하여 국왕에게 바치고, 국왕은 봉한 것을 뜯어 시험문제를 검토한 뒤 검인을 찍고 다시 봉하여 지공거에게 돌려주었다.

지공거는 이를 공원(시험관리소)에 가져다 두었다가 시험날 아침 에 써서 걸면 시험이 시작된다. 시험이 끝나면, 시험장에 승선이 금인을 가지고 와서 수험생의 답안지에 도장을 찍는다. 지공거와 동지공거가 초장의 시험을 채점해 놓으면 이틀 뒤 승선이 와서 봉한 이름을 뜯어 합격자를 발표하는데, 중장·종장도 이와 같이 한다. 3장이 끝나면 지공거는 합격후보자의 답안지 뒤에 과와 차(제1, 2등의 등수)를 써서 황표로 봉한 뒤 함에 넣어 국왕에게 바치면, 국왕은 이를 참고로 합격자를 결정했다.

이와 같이 고려시대의 과거제는 지공거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지공거와 급제자 사이에는 일생을 두고 지속되는 좌주·문생이라는 독특한 사제관계가 맺어졌다.→ 지공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공거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