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사 韓國史, history of Korea
    한반도를 중심으로 전개된 한국의 역사.|한국의 역사는 구석기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청동기시대에는 권력자가 발생하였고, 고조선이 가장 먼저 성읍국가로서 건국하였다. 삼국시대에는 왕권 중심의 중앙집권적 귀족국가가 형성되었다. 불교를 수용하여 왕권강화 및 귀족들의 특권강화를 정당화했다. 삼국시대 말기에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한국사 韓國史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한국사의 전반적인 면을 통사적으로 정리하여 집대성한 학술서. 역사서.|서지적 사항 25책. 1만 1736면. 탐구당(探求堂)에서 번각·배포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1) 배경 국사편찬위원회에서 1970년대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한 사업이다. 광복 이후 25년 동안 우리의 역사를 연구해 왔으나, 이를 집...
    시대 :
    현대
    저작자 :
    국사편찬위원회
    창작/발표시기 :
    1973년∼1978년
    성격 :
    학술서,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5책
    간행/발행 :
    국사편찬위원회, 탐구당
    분야 :
    역사/근대사
  • 한국사 韓國史
    1994년 한길사에서 170여 명의 학자가 집필진으로 참여하여 출간한 역사서. 학술서.|개설 전27책. 이 책은 1986년 편찬 준비작업에 착수한 이후 약 8년 만에 완간되었다. 지금까지 한국사 통사는 개인에 의해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그러나, 연구단체나 관련기관이 주관해 관련 학자가 참여해서 집단적인 작업을 통해 ...
    시대 :
    현대
    저작자 :
    한길사
    창작/발표시기 :
    1986년∼1994년
    성격 :
    역사서, 학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7책
    간행/발행 :
    한길사
    분야 :
    역사/근대사
  • 한국사 韓國史
    진단학회가 표준이 될 한국사를 편찬할 목적으로 1959년부터 1965년에 걸쳐 간행한 학술서.|개설 1959년 6월부터 1965년에 걸쳐 간행되었다. 전7권(본문 6권, 연표 1권). 1960년대의 한국사 개설서로 가장 대질이며 수준 높은 한국통사로 알려져 있다. 편찬/발간 경위 1954년 11월 법인조직으로 새로운 연구활동을 다...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 한국사 韓國史
    전 25권. 국사편찬위원회는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집대성하고 체계화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는 취지하에 1969년부터 편찬 계획에 착수하고, 사업의 추진을 위해 한국사편찬위원회를 구성했다. 1973년부터 시작해 1978년에 제24·25권이 발간됨으로써 마무리되었다. 8·15해방 이후 간행된 통사형태의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서적
  • 한국사 韓國史
    진단학회에서 1959~65년에 걸쳐 펴낸 한국사 개설서.|전7권. 미국 록펠러 재단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고대편(1권)은 김재원·이병도, 중세편(2권)은 이병도, 근세전기편(3권)과 근세후기편(4권)은 이상백, 최근세편(5권)과 현대편(6권)은 이선근, 연표(7권)는 이병도가 각각 집필했다. 고대편은 선사시대부터 통일기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부여사와 한국사
    이제까지 우리 역사에서 부여(扶餘 또는 夫餘)는 ‘고대사의 변경’에 속한 나라로 자리매김되어 왔다. 부여는 기원전 3세기~기원전 2세기 무렵 예맥(濊貊)의 한 갈래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면서 송화강(松花江) 유역을 중심으로 실체를 드러냈다. 이후 부여는 700여 년간 고조선과 고구려 등 예맥계의 여러 세력뿐만...
  • 한국사 (교과목)
    한국사(韓國史)는 대한민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에서 가르치는 한국사 교과목이다. 한국의 역사에 대한 간략한 내용을 주제로 중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배운다. 중학교 과정에서는 단순히 역사라는 과목으로 불린다. 상, 하권으로 나뉘며 상권은 선사시대부터 남북국 시대까지, 하권은 고려, 조선부터 현대까지...
    도서 위키백과
  • 조선 풍속화의 두 거장, 김홍도 vs 신윤복
    조선 3대 풍속화가로 칭해지는 사람들이 있어요. 누굴까요? 김홍도 · 김득신 · 신윤복. 이들이 바로 조선의 3대 풍속화가예요. 이들 중 특히 김홍도와 신윤복은 풍속화 하면 바로 떠오를 정도로 쟁쟁한 조선 미술계의 라이벌이었어요. 조선 풍속화의 대가 김홍도와 신윤복을 초대하여 그들의 그림 세계를 이야기해...
  • 모피무역을 통해 살펴본 한국사
    말 탄 군사가 1천여 명이나 되었는데, 지금은 겨우 40∼50명만 있을 뿐이니, 변방의 위급한 상황이 생기면 무엇으로 적을 방어하겠습니까?” 모피가 바꾼 한국사 모피교역 등을 통해 성장한 야인들은 1644년 명나라를 멸망시키고 대륙의 지배자가 되었다. 그 무렵 여진족의 인구는 대략 50만, 한족의 인구는 1억 5천만...
  • 한국의 역사 (관련어 한국사) History of Korea, 朝鮮の歴史
    다른 뜻 넘어옴한국사 한국의 역사 또는 한국사(韓國史)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까지 동아시아의 한반도, 만주, 연해주 지역을 바탕으로 전개된 한국의 역사이다. 이 문서는 광복 이전의 한국에 대한 역사를 주로 설명한다. 한국사의 시대 구분은 구석기 시대에서부터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구분되는 선...
    도서 위키백과
  • 한국사학사 韓國史學史
    개요 한국사학사는 크게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고대·중세·근대·현대의 사학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역사학계에서 시대구분이 아직 정설화되지 않았으므로 여러 견해가 있지만, 역사학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시대구분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고대사학은 역사서가 정식으로 편찬된 삼국 초기로부터 10세기...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한국사
한국사대관
한국사 / 진단학회
히스토리카 한국사 - 고구려·백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오디세이(전 2권)
국사편찬위원회 / 한국사 학술 세미나
김용중이 세운 선전기관인 한국사정사가 있던 자리(미국 워싱턴D. C.)
2013년 교육부가 편향성을 이유로 수정명령을 내렸던 6종의 한국사 교과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