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한식 韓植풍자문학에 대하야-그 실체와 발생한 시대>(동아일보, 1936.2.21.∼27.)·<문학의 진실한 발전을 위하여>(조선중앙일보, 1936.6.19.∼7.5.)·<문화의 민족성과 세계성>(조선일보, 1937.4.29.∼5.7.)·<문화의 대중화와언어문제-논의의 현실적 기초를 닦기 위하여>(조선일보, 1937.7.2.∼7.)·<시의 현대성...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7년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평론가, 문학평론가
- 대표작 :
- 사회주의 리아리즘의 재인식, 비평문학의 수립과 그 방법, 고려촌 등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
-
-
-
정율성 정부은, 鄭律成太行山)의 화북조선혁명청년학교(華北朝鮮革命靑年學校) 등에 소속되어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1944년 4월 다시 연안으로 돌아온 뒤 해방을 맞이하였다. 해방 후 북한으로 귀국, 해주에서 황해도 도당위원회 선전부장으로 활동하였다. 이 때 음악전문학교를 창설하고 음악 인재를 양성하였다. 1947년 평양으로 들어와...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 북한지 甕津 大靑島 冬柏나무 自生 北限地내용 1962년 12월 3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 15만 6396㎡. 대청도는 위도로 보아서는 매우 북쪽에 위치하지만 해류의 영향을 받아 난대성의 동백나무가 살 수 있다. 약 60년 전의 기록에 의하면 줄기 지름이 20㎝에 이르는 나무가 147그루나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그 숫자가 크게 줄었다. 대청도의 동백나무...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식물
-
박동실 朴東實개설 1910∼1930년에 전라도를 중심으로 창극 활동에 힘썼고, 광복 후에 월북하여 사회주의 창극 운동을 주도하였으며 인민배우 칭호를 받았다. 활동사항 전남 담양군 금성면 대관리(호적은 담양읍 객사리 241)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박장원(朴壯元), 어머니는 배금순(裵今巡), 외조부는 판소리 명창 배희근(裵喜根...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7년
- 사망 :
- 1968년
- 경력 :
- 평양음악대학 교원, 인민배우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창극운동, 월북
- 직업 :
- 명창
- 대표작 :
- 창극 춘향전, 녀성영웅 조옥희, 김장군을 따르자 등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본관 :
- 밀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