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한반도의 북쪽에 있는 국가.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가 38도선을 경계로 분단된 이후 1948년 38도선 북쪽에 수립되었다. 동쪽은 동해, 서쪽은 서해와 접하고 있으며, 남쪽은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대한민국과 분리되어 있다. 북쪽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 만주지방과 러시아 연방에 인접해 있다. 한국의 헌법에...
    위치 :
    아시아 한반도
    인구 :
    26,244,582명 (2024)
    면적 :
    120,540㎢
    공식명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기후 :
    대륙한랭성기후
    민족 구성 :
    한민족
    언어 :
    한국어
    정부/의회형태 :
    중앙집권공화제 / 일당제&단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국방위원회 위원장 / 국방위원회 위원장
    화폐 :
    북한 원 (W)
    대륙 :
    아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북한 North Korea, 北韓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북반부 지역을 일컫는 말로서, 구체적으로는 1953년의 정전협정에 의하여 설정된 군사분계선 이북의 지역을 지칭하는 동시에 이 지역을 실질적으로 통치하고 있는 정권.|개설 북한의 정권은 마르크스 · 레닌주의와 ‘주체사상(主體思想)’을 통치이념으로 삼고, 프롤레타리아 계급독재를 실시하...
    시대 :
    현대
    위치 :
    한반도 북부
    유형 :
    지명
    면적 :
    12만 3138㎢
    분야 :
    역사/현대사
  • DPRK 북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DPRK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북한)의 로마자 표기의 줄임말이다. 미국을 USA, 영국을 UK, 일본을 JPN이라는 약자로 표기하는 것처럼 북한을 DPRK로 일컫는다. 우리나라의 로마자 약자는 ROK(Republic Of Korea)이다. 참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련어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 North Korea
    다른 뜻 넘어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군사 분계선 북부에 위치한 나라이다.649만 명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는 평양말을 기초로 형성된 문화어이다. 수도는 평양시이며, 이밖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도시로는 남포시, 개성시, 라선시 등이 있...
    도서 위키백과
  • North Korea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North Korea , officiall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 is a country in East Asia,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ame Korea is derived from the Kingdom of Goguryeo, also spelled as Koryŏ. The capital and largest city is Pyongyang. North Korea shares a land...
  • 두만강 豆滿江
    바로 이 단구의 기슭을 흐르고 있다고 한다. 강의 잦은 범람으로 유적의 적지 않은 부분이 일찍이 유실당하였으며 문화층이 잘린 단층이 보일 정도라고 한다. 북한측은 1949년 나진 초도의 원시 유적 발굴과 1954년 오동유적 발굴에 착수하는 등 많은 발굴 작업을 벌인 바 있다고 한다. 두만강 유역 일대는 수많은 성지...
    유형 :
    지명/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함경북도 咸鏡北道
    혼합림 지역에서는 적송 · 참나무 · 떡갈나무 · 단풍나무 · 황철나무 등이 자라고 있으며, 나진시벚나무 · 서수라리산벚나무 · 개심사약밤나무 등이 북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화대군 목진리운만대 지역은 북부 지방에서는 보기 드문 참대의 일종인 신의대(산죽)가 자라고 있어 운만대신의대식물...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북한의 자연환경
    화강편마암계는 평안북도·자강도·황해남도·황해북도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마천령계인 변성퇴적암은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암층으로 황해남도를 제외한 북한 전역에 고루 분포한다. 평안계는 평안남도 북부와 평양 부근, 황해남도 및 함경북도 북부지역 일대에 분포하는데, 이곳에 무연탄이 대규모로 매장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유물보호법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文化遺物保護法
    개설 북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유물보호법」은 “문화유물 보호관리에서 제도와 질서를 엄격히 세우고 문화유물을 원상대로 보존하여 민족문화유산을 옳게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1994년 제정되었다. 총 6장으로 구성된 이 법은 그때까지의 민족문화유산을 보호 관리하면서 이룩한 성과들과 경험들...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
  • 국방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國防委員會
    헌법에서 국가주석직을 폐지함에 따라 최고 국가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009년 사회주의헌법 개정으로 국가최고기관으로 변화되었고 국방위원장은 북한 '최고영도자'로 명시되었다. 2016년 6월 국방위원회는 폐지되고 국무위원회가 신설되었다. 내용 김정일 시대의 국방위원장은 국가의 '최고영도자'로서 국방위원회...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국방
  • 북한의 문화
    문학 북한 문학은 사회적 변동과 연관하여 1945~50년의 평화적 조국건설기, 1950~53년의 조국해방전쟁기, 1953~60년의 전후 복구건설과 사회주의 기초건설을 위한 투쟁기, 1960년대 이후의 이른바 사회주의의 전면적 건설과 사회주의 승리를 앞당기기 위한 투쟁기 등 4단계 과정을 거쳐왔으며, 특히 1960년대 중반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자강도 慈江道
    이들 산줄기 사이에는 강계분지(江界盆地), 희천분지(熙川盆地), 화평분지(和坪盆地) 등의 산간분지가 발달해 있다. 강이나 하천도 많다. 총수자원량은 북한의 14.8%를 차지하며, 이는 함경남도 다음으로 많은 비중이다. 유로가 5㎞를 넘는 하천이 300여 개에 달하지만, 대부분의 하천은 산지를 흐르는 감입곡류하천으로...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5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의 황해도 전승 은율 탈춤
북한 평양특별시
개성직할시
남포직할시
평안남도
한국전도
황해북도
함경북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