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북한의 민속
    북한은 사회주의 건설과정에서 민속을 선택적으로 보존해왔다. 민족문화에 대하여 "허무주의"와 "복구주의"를 동시에 경계한다는 김일성의 교시에 따라 북한체제 유지에 도움이 되는 민속은 유지시킨 반면, 과거 봉건시대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있는 민속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전통예절이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북한(North Korea) 또는 조선이라고 통칭한다. 수도는 평양시이다. 이른바 주체사상을 통치이념으로 하여 프롤레타리아 계급독재를 실시하고 있으며, 모든 권력은 유일 지배정당인 조선노동당에 집중되어 있다. 경·위도상 동경 124°10′47″(평북 신도군)~130°41′32″(함북 선봉군 우암리), 북위 37°41′(황남 강령...
    위치 :
    아시아 한반도
    인구 :
    26,244,582명 (2024)
    면적 :
    120,540㎢
    공식명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기후 :
    대륙한랭성기후
    민족 구성 :
    한민족
    언어 :
    한국어
    정부/의회형태 :
    중앙집권공화제 / 일당제&단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국방위원회 위원장 / 국방위원회 위원장
    화폐 :
    북한 원 (W)
    대륙 :
    아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북한의 문화
    음악·민족장단을 북한 춤의 기본요소로 강조하면서도 전통무용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 것은 전통무용이라는 말이 갖고 있는 봉건성 때문이다. 북한 춤 작품들...무용·가무 외에 음악이 배합된 무용, 현대적 미감에 맞게 재창조한 민속무용, 항일혁명전통과 그당시 무용을 다듬거나 수렴한 무용으로 나누어진다.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명절
    날 본뜻과 무관한 김일성의 항일운동으로 해방한 것으로 선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창건일 1948년의 창건 기념 10월 10일 조선로동당창건일 1945년의...15일 정월대보름 민속명절 음력 5월 5일 수리날 민속명절 음력 8월 15일 한가위 민속명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휴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휴일
    도서 위키백과
  • 조선민속박물관 朝鮮民俗博物館
    내용 1956년 2월 10일에 개관된 조선민속박물관은 북한에서 민속박물관이라는 명칭이 붙은 유일한 박물관으로 역사 관련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박물관은 전시면적 1,800㎡의 U자형의 3층 건물로, 1,2층이 전시장(7개 전시실 2,100여 점의 유물 전시)으로 구성되어 있다. 7개의 전시실은 생산풍습부분, 식생활풍습부분...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한국 韓國
    대부분이 북한에 편중되었고, 소수인 남한의 공장들도 사회의 혼란과 자본 및 기술의 부족으로 정상적인 발전을 하지 못하였다. 1950년부터 공업진흥계획이 수립되었으나 6 · 25전쟁으로 기존의 공장시설마저 파괴되었다. 휴전 후 섬유 · 식품 · 시멘트 · 전력 등의 소비재산업에 치중했으나 발전은 미약하였다...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현대사
  • 삼지연관현악단 三池淵管絃樂團
    개요 북한이 2018년 평창올림픽 기념 공연을 위해 파견한 관현악단. 140명 규모로 구성되었다. 2009년 1월 창단된 삼지연악단이 모체이며 북한의 다른 예술단...클라리넷, 플루트, 팀파니 등 전통적인 관현악기와 함께 피아노와 러시아 민속악기 바얀 등 공연 내용에 따른 민속악기를 추가 편성하고 있으며, 클래식 음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북한
  • 한국 민속의 역사
    졌다. 북한 지역에서는 황두와 소겨리 풍습이 행해졌고, 남쪽에서는 두레가 전형적인 공동노동으로 자리잡았으며 상부상조하는 농경생활 풍습들은 바로 이러한 공동노동조직으로부터 배태된 것들이 많았다. 특히 두레는 자연마을을 단위로 조직되어 호미모둠·호미씻이 등의 세시풍속을 지녔으며 행수·도감·영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프랑스 The French Republic
    문제는 북한의 기본적인 정책변화가 이뤄지고 남북대화의 의미있는 진전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며, 또한 유럽연합 제국 및 한국과 긴밀한 협의하에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이 현 동거정부의 입장이다. 거시적 관점에서의 프랑스의 외교정책은 18세기 이후 미국과 대서양을 넘나드는 협력관계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는...
    시대 :
    현대
    위치 :
    유럽 서부 대서양 연안
    수도 :
    파리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64만 3801㎢
    언어 :
    프랑스어
    정부/의회형태 :
    공화국, 대통령제
    종교 :
    가톨릭, 무슬림, 유대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론 Mass media in North Korea,..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표적인 출판사는 약 50여 종인데, 가장 권위있는 출판사가 《조선로동당출판사》는 처음에는 이름이 《인민출판사》를 바꾸어 《조선로동당출판사》가 되었다. 이 출판사는 1946년에 김일성 주석의 지시에 따라서 평양종합인쇄공장과 함께 설립되었으며, 《근로자》와 《로동신문》을...
    도서 위키백과
  • 조선고고연구 朝鮮考古硏究
    데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북한에서는 민속학에 대해 "우리 인민의 문화와 생활풍습의 민족적 특성을 연구하는 역사과학의 한 부분으로서 민족문화의 계승...관계의 새로운 성과와 자료들이 소개되었고 다양한 논쟁도 진행되었다. 1962년까지 총 62권이 발간된 이 잡지는 1963년부터 〈고고민속〉으로 개칭되어 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美國
    하나로 북한의 에너지공급을 돕고자 한반도에너지기구(KEDO)를 발족시켜 가장 밀접한 이해 당사자인 한국과 일본을 이 일에 참여시키고 있다. 그리고 미국 내의 대북한정책을 이해 당사자인 한국과 일본의 대북정책관과 함께 조율하여 1999년도에 <페리보고서>로 발표하였다. 이는 미국의 대북한정책의 종합안이자...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982만 6675㎢
    분야 :
    정치·법제/외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