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황해북도 북동부 |
---|---|
인구 | 120,693 (2008) |
면적 | 520.682㎢ |
행정구역 | 1개읍 20개리 |
요약 황해북도 북동부에 있는 군.
동쪽은 강원도 판교군, 서쪽은 수안군, 남쪽은 신계군, 북쪽은 신평군과 접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곡산읍 1개읍과 계림리·계수리·고성리·덕흥리·동산리·용암리·율리·무갈리·문양리·사현리·서촌리·세림리·송림리·오리포리·월양리·청송리·초평리·평암리·현암리·호암리 등 20개리로 구성되어 있다(2002). 군소재지는 곡산읍이다. 면적 520.682㎢, 인구 120,693 (2008).
연혁
고구려 때에는 십곡성이라고 했다가 고려초에는 곡주, 조선시대에는 곡산이라고 했다. 여러 차례 주로 승격되거나 군으로 격하되었다가 1895년(고종 32)에 곡산군이 되어 개성부에 속했다. 십곡성·덕둔홀·고곡·진서·상산 따위의 이름들이 있다. 8·15 해방 당시에는 12개면(곡산·운중·동촌·도화·서촌·화촌·봉명·상도·하도·이령·멱미·청계)이었고 군청은 곡산면 적성리에 있었다. 해방 후 북한은 1952년 12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북부지역을 신평군으로 분리 신설하고 아호비령산맥 동부를 강원도와 평안남도로 분리시켰다. 반면에 신계군 촌면과 수안군 옥현리를 편입시켰고 1954년 10월 황해북도가 신설되면서 이 도에 속하게 되었다.
자연환경
북부에는 언진산맥, 동부에는 아호비령산맥이 뻗어내려 동고서저의 지형을 이루며 양대 산맥을 따라 선바위산(1,106m)·명지덕산(909m)·덕업산(1,017m)·대각산(1,278m)·구봉산(906m) 등이 솟아 있다. 대동강·예성강의 지류인 곡산천·대각천·길동천 등 30여 개의 하천이 군내를 흐르며, 곡산천의 중류 연안에는 곡산분지가 있다. 또한 친선·신곡·오류 저수지를 비롯한 여러 저수지가 있다. 기온은 연평균기온 8.8℃ 내외, 1월평균기온 -8.5℃ 내외, 8월평균기온 23.9℃ 내외, 연평균강수량 1,200∼1,300㎜ 정도이다. 산림은 군면적의 60%를 차지하며, 주로 소나무·참나무 등이 자란다. 그밖에 자작나무·오리나무·밤나무·싸리나무·아카시아나무 등이 있다.
산업과 문화
토양이 척박하여 농경지로 부적당했으나, 토지개량사업과 오류·친선 저수지 등의 관개체계 확립으로 이를 극복했다. 경지율 40%로 농업이 군의 주요산업이며, 논보다 밭이 많다. 주로 옥수수·쌀·밀·콩 등이 생산되고, 산이 많아 소·양 등의 축산업이 활발하다. 중석·아연·납 등의 지하자원이 매장되었으며, 특히 중석은 한때 동백년산·백년·대동·곡산 일대에서 전국 생산량의 80%를 생산하기도 했다.
그밖에 석회석·슬레이트 등의 건재자원이 풍부하며, 토기·시멘트·식료품·종이·가구 공장 등이 있다. 예로부터 산중삼읍이라 불릴 정도의 오지였으나, 지금은 곡산천과 두무천을 따라 놓인 간선도로와 양덕-신계 간의 도로가 곡산을 지난다. 정봉·신평·수안 등지와 연결되는 도로가 있다.
조선시대 신덕왕후 강씨와 관련된 용연, 태조 이성계가 말을 타고 달렸다는 치마도 등이 있으며, 해서금강이 뛰어난 명승지이다. 고달사가 있었으나 현존하지 않는다.
고등농업학교를 비롯하여 각급 학교와 소규모의 도서관·영화관·군중문화회관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