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홍단군

다른 표기 언어 大紅湍郡
요약 테이블
위치 양강도 북동부
인구 35,596 (2008)
면적 680.9㎢
행정구역 1개읍 9개구

요약 양강도 북동부 두만강 연안에 있는 군.

동쪽은 함경북도 연사군·무산군, 서쪽은 삼지연시, 남쪽은 백암군, 북쪽은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의 북동지방과 접한다. 행정구역은 대홍단읍 1개읍과 개척노동자구·농사노동자구·삼봉노동자구·삼장노동자구·서두노동자구·신덕노동자구·신흥노동자구·유곡노동자구·홍암노동자구 등 9개구로 이루어져 있다(2003). 군소재지는 대홍단읍이다. 면적 680.9㎢, 인구 35,119(2008).

대홍단군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혁

본래 삼지연군의 대홍단 노동자구였으나 1939년 김일성이 이곳에서 군사정치활동을 했다는 명분으로 1978년 8월 삼지연군의 북부지방인 7개 노동자구(5호·신덕·서두·농사·신흥·흥암·대홍단)와 함경북도 연사군의 원봉노동자구, 삼장리·삼하리를 병합하여 군으로 신설하였다. 이때 5호노동자구는 대홍단읍으로, 삼장리는 삼장노동자구로, 5호노동자구·신덕노동자구의 일부와 삼하리의 일부는 삼봉노동자구가 되었다.

자연환경

대부분의 지역이 소홍단수 연안에 펼쳐진 현무암지대로서 예로부터 '천리천평'으로 불려왔다. 군내에는 증산(1,510m)·까치봉(1,252m)·관모봉(1,386m)·평편산(1,133m)·삼봉(1,259m)·푸른봉(1,521m)·장청산(1,526m) 등 1,000m 이상의 높은 산이 솟아 있다.

두만강과 그 지류인 소홍단수·서두수·무포천 등이 동서방향으로 흐르며, 삼림이 무성하여 유량의 변화가 적고 봄철에 강수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토양은 대부분 갈색삼림토이며, 소홍단수 유역에는 점토질 토양이 분포한다.

기후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서 연평균기온 1.6℃ 내외, 1월평균기온 -17.6℃ 내외, 8월평균기온 18.2℃ 내외, 연평균강수량 573.7㎜ 정도로 비가 매우 적은 지역이다. 산림이 군 면적의 91%로 북한에서 산림자원이 가장 풍부한 곳이다. 이깔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붓나무·사스래나무 등이 울창한 원시림을 이루고 호랑이·백두산노루·곰·멧돼지·꿩·멧닭 등의 산짐승이 서식하고 있다.

산업과 문화

과거에는 원목 중심의 임업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정책적인 지원을 얻어 점차 축산 및 농업지대로 변모하고 있다. 감자·콩·아마 등의 농작물이 재배되며, 유곡임산사업소를 비롯한 채벌기지·제재공장·목재가공공장이 있다. 또한 군내에는 대홍단전분공장·임산철도수리공장·농기계공장과 서두수 수력발전소가 있다. 군을 동서로 통과하는 도로가 삼지연시와 무산군을 연결하며 대홍단읍에서 분기한 도로가 연사군과, 대홍단노동자구에서 분기한 도로가 백암군에 연결된다.

예로부터 단군의 하강성지로 알려진 백두산 일대의 천리천평은 '하늘처럼 넓은 들판'을 의미하며, 인근의 삼지연과 더불어 백두산 관광지로 잘 알려진 곳이다.

각급학교와 영화관·구락부·도서관 등이 있으며,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기념하는 각종 혁명전적지·혁명사적관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대홍단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