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일반적 특징
방광은 속이 비어 있는 근육성 기관으로 소변을 저장하며, 골반바닥 중에서 앞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치골결합의 바로 뒤, 복막의 아래에 위치한다. 크기와 형태는 저장하고 있는 소변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비어 있을 경우 4면체의 형태이며 골반 내에 위치하게 되고 팽창하게 되면 달걀형으로 바뀌어 하복부까지 이르게 된다.
방광은 방광꼭대기·방광몸통·방광바닥·방광목으로 나눌 수 있다. 방광목은 요도의 입구를 둘러싸는 부위로 남자의 방광목은 전립선에 단단히 붙어 있다. 방광의 윗면은 3각형 모양이고 복막으로 덮여 있다. 방광은 골반강 바닥의 주된 부분을 차지하는 항문올림근에 의해 지지되고, 내장 쪽 골반근막으로 덮여 있으며 약간의 지지를 받는다.
혈액공급과 신경지배
방광의 혈액공급은 위방광동맥·중간방광동맥·아래방광동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위방광동맥은 방광의 윗부분에, 중간방광동맥은 방광의 바닥에, 그리고 아래방광동맥은 아래외측면에 혈액을 공급한다. 방광의 신경지배는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교감신경은 방광의 팽만감을 중추신경계에 전달하여 방광근육의 이완과 조임근의 수축에 관여하므로 소변을 참는 역할을 하고, 부교감신경은 방광근육을 수축시키고 조임근을 이완시키므로 배설이 되게 한다.
방광벽의 구조
방광벽은 바깥쪽에서부터 안쪽으로 근막·근육층·점막밑조직·점막의 4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광의 윗면은 장막으로 덮여 있으며 이것은 다시 복막과 연결되어 있다. 근막은 근육을 덮고 있는 것과 같은 결합조직의 층이다. 근육층은 근섬유의 방향에 따라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안쪽과 바깥쪽에 있는 세로로 배열된 근섬유와 중간층의 환형의 근섬유가 있다.
이 근육들은 강력한 방광배뇨근으로서 소변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점막밑조직은 성긴 결합조직으로서 탄력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점막은 방광의 내피조직으로 소변이 침투할 수 없게 되어 있으며 요관 및 요도의 점막과도 연결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방광의 구조와 기능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