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16세기
종교개혁시대의 주요정치인이자 시인이었던 욘 아라손은 홀라르의 마지막 가톨릭 주교로서 1550년 참수형을 당했다.
종교개혁이 아이슬란드 학계와 문필계에 영향을 미치면서, 루터파 성직자들은 덴마크와 독일어 찬송가를 번역했고 루터파 선교자들은 프로테스탄트 교리를 가르치며 독일어 루터파 설교집과 저서를 번역해 소개했다. 가장 정열적인 활동가는 귀드브란뒤르 토를라크손으로, 이전에 번역된 성서를 대본으로 〈신약성서〉와 〈구약성서〉를 완역했다.
17세기
17세기 아이슬란드에서 가장 뛰어난 시인은 할그리뮈르 페튀르손이며, 그의 〈예수 수난가 Passíusálmar〉(1666)는 가장 널리 읽히는 작품에 속한다.
그밖에 스테판 올라프손이 주목할 만한 시인이었다.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이 시대에는 고대에 대한 관심이 융성했고 근대적 의미의 학문이 시작되었다. 아른그리뮈르 욘손과 아르니 망뉘손이 대표적 학자였다.
18세기
18세기초 대표적인 산문은 욘 비달린이 쓴 〈가정 설교집 Húss-Postilla〉(1718~20)이었다.
후반의 주요작가로는 지리학자이며 애국시인이었던 에게르트 올라프손과 존 밀턴의 〈실락원 Paradise Lost〉 등을 번역한 시인·학자인 욘 토를라크손이 있고, 피뉘르 욘손과 욘 에스폴린은 아이슬란드의 역사를 다룬 저술을 남겼다.
19세기
19세기초 아이슬란드에는 문학과 언어학 분야의 문예부흥이 일어났다.
이를 주도한 사람은 언어학자 할그리뮈르 셰빙, 시인이자 사전편찬자인 스베인비외른 에길손,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비외른 귄로이그손의 세 사람이었다. 이 운동의 원동력은 낭만주의로서 비야르니 토라렌센은 19세기 서정시의 귀감이 된 민족주의시를 썼고, 작시법(作詩法)에서 그를 능가하는 요나스 하들그림손은 정기간행물 〈피욀니르 Fjölnir〉의 발행에 참가해 혁명적인 문학 이론과 실천을 꾀했다.
'다면'(多面)이라는 뜻을 가진 이 잡지의 동인들은 전통에 반대하고 시운(詩韻)을 거부했다.
1840년대에는 다른 시인의 집단이 두각을 나타냈는데, 베네딕트 그뢴달, 스테인그리뮈르 토르스테인손, 마티아스 요큄손이 대표자였다.
특히 요큄손은 〈할그리뮈르 페튀르손 Hallgrímur Pétursson〉(1874)·〈영혼의 아버지 Fadir andanna〉(1884경) 같은 시집으로 세 사람 가운데 가장 뛰어난 서정시인이 되었으며 토르스테인손처럼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번역했다. 그밖에 그리뮈르 톰센은 같은 시기의 시인이지만, 이 시파와는 달리 덜 서정적이며 더 장중하고 힘찬 시를 썼다. 19세기 후반의 재능있는 시인으로는 〈시대의 소리 Aldaslagur〉(1911)를 쓴 토르스테인 에를링손, 신낭만주의 시인 에이나르 베네딕트손, 사실주의적 반어(反語)가 뛰어난 스테판 G. 스테판손을 들 수 있다.
이 시대의 문예부흥은 산문 창작에도 영향을 끼쳐, 욘 토로드센의 소설 〈청년과 아가씨 Piltur og stúlka〉(1850)·〈남자와 여자 Madur og kona〉(1876)는 중세 사가에 비견될 만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아이슬란드의 중세 및 근대 문학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