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오쩌둥식 사회주의의 실현

다른 표기 언어

1949년 봄 마오는 지금까지 중국혁명은 '지방으로부터 도시를 포위하는' 비정통적인 노선을 걸어왔으나 앞으로는 도시가 지방을 이끌어가는 정통노선을 걷게 되리라고 공표했다.

1950년 마오는 이러한 노선에 발맞추어 농촌집단화는 중국의 중공업이 기계화에 필요한 장비를 제공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는 류사오치[劉少奇]의 견해에 동의했다. 1955년 7월의 한 보고서에서 마오는 이같은 입장을 바꾸어 중국에서는 사회변혁이 기계변혁보다 앞설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근본적으로 외부의 지원을 전혀 받지 않고 물질적인 조건들을 향상시킨 일부 집단농장들의 업적에 깊은 감명을 받은 마오는 중국 인민들의 무한한 잠재력을 믿게 되었다. 특히 혁명을 위해 동원되는 농촌 대중들은 임의로 자연과 그들의 사회관계를 변모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같은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 일부 지도자들은 마오에 의해 '전족을 한 노파'라고 매도당했다. 당간부들의 집단적 의사결정과정을 무시하고 마오의 임의대로 정책을 추진해나가는 경향은 날이 갈수록 심해졌다.

1956년 2월 제20회의 당대회에서 스탈린을 비판하는 흐루시초프의 비밀연설이 있기도 전에, 마오와 그 동료들은 새 중국을 건설하는 데 지식인들을 자발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한 사기 진작책을 검토했다.

1956년 4월말 마오는 '백화제방정책'(百花齊放政策:여러 가지 다양한 사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정책)을 발표해 중국에 스탈린 치하의 소련과 비슷한 탄압적인 정치 분위기가 생겨나지 않도록 했다. 폴란드와 헝가리에서 탈(脫)스탈린화가 빚은 혼란을 목도하면서도 이 정책을 포기하지 않고 과감하게 밀고 나갔다. 고위급 동료들이 이 정책을 실시하지 말라고 조언했으나, 마오는 중국사회에 그때까지 존재하는 갈등사항들은 대체로 적대적인 것이 아니라고 믿었다. 그결과 벌어진 '백화제방과 백가쟁명(百家爭鳴)'이 겉잡을 수 없는 상태로 되어가자 당노선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마오는 지식계급에 의해 배신당했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그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했다.

그때 이후 마오는 근대화의 주역은 대중서민과 그들의 창조성이라고 믿게 되었다. 전문가들도 당성(黨性)이 충분하지 못하면 농촌으로 보내 노동을 시킴(下放)으로써 그들의 당성을 개조시켰다. 이러한 배경 아래 마오는 1957~58년 겨울에 대약진운동이라는 정책을 입안해 1958년 5월 공식적으로 시행했다.

마오의 경제정책은 1960년대와 1970년대의 통설처럼, 일방적이고 단세포적인 것은 결코 아니었다. 마오는 공업화와 '기술혁명'이 여전히 자신의 목표라고 공언했으나 기술발전의 결과가 가져온 부정부패적 측면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불안을 느꼈다.

그리하여 대약진 운동의 일환으로 '인민공사'의 설립을 지지하고 촉진시킨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결과 1955~56년 협동농장 단위로, 이어 1956~57년 사회주의 집단농장 단위로 구성되었던 농민들은 1958년에 다시 한번 자신들의 세계가 뒤죽박죽 되어버린 것을 경험했다.

결국 이러한 변화의 결과는 혼란과 경제적 파탄만을 가져왔다. 1958~59년 겨울 마오는 전략의 일부 수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해 인민공사의 구성원에게로 소유권을 분산시키고 공업과 농업에서의 비현실적인 과도한 생산목표를 하향조정시켰다. 그러나 인민공사를 비롯한 새로운 중국식 사회주의 노선이 크게 볼 때는 정당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959년 7~8월 루산 산[廬山]에서 개최된 제8회 전국대표대회(전대회) 제8차 중앙위원회전체회의(중전회)에서 당시 국방장관이던 펑더화이[彭德懷]는 대약진 운동의 부조리와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비난하여 곧바로 모든 관직을 박탈당하고 감금생활을 하다가 문화대혁명 때 죽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마오쩌둥식 사회주의의 실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