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소련식 모델의 중국 적용이 실패하자 대안으로 마련한 운동이었다. 기계 중심의 공업생산보다는 인간의 노동력으로 농업과 공업이 발전될 수 있다는 모토로 1958년 시작되어 곧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공사조직 하에서 농업생산 및 정치적 결정은 지방자치로 처리되었고, 전문기술보다는 이념적 순수성이 강조되었다. 농민들을 생산대로 편제하고, 공동취사를 실시하여 여성을 생산 활동에 동원함으로써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공산주의적 생산체제가 만들어졌다.
대약진 과정의 문제는 연속적인 자연재해와 소련 기술고문의 철수로 더욱 악화되었다. 경제가 악화되자 1960년초 중국 정부는 대약진 운동을 철회하여 사유지와 농기구가 농민들에게 돌려주고 전문기술이 다시 강조되기 시작했으며 공사 조직도 폐지되었다.
수많은 군중을 대규모 농촌인민공사(農村人民公社)로 조직화하여 중국이 직면한 공업과 농업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이 운동은 기계보다는 인력에 의존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화 방법의 개발을 구상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고, 순차적으로 중기계를 구입하여 완만하지만 전형적인 산업화 과정으로 우회해나가는 것을 목표로 했다. 대약진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은 모든 마을에 소형 용광로를 개발하여 새로운 대형공장 건설의 필요성을 대체하려 했다는 점으로 집약된다.
대약진 운동은 중국에서 소련식 모델을 본뜬 산업화 방법이 실패한 결과로 나온 운동이었다.
농업생산물의 판매로 얻은 자본을 중기계로 이전하려 한 소련식 모델은 중국에 적용될 수 없었다. 소련과는 달리 중국은 거대한 인구로 인해 자본을 축적할 만한 농업생산물의 잉여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격렬한 논쟁을 거친 후 인간의 작업습관을 바꾸고 기계 중심의 공업생산과정보다는 인간의 노동력을 통해 농업과 공업이 동시에 발전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실험적인 인민공사가 1958년초 허난 성[河南省]에 세워진 뒤, 곧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공사조직하에서 농업생산 및 정치적 문제에 관한 결정은 지방자치로 처리되었고, 전문기술보다는 이념적 순수성이 강조되었다. 농민들은 생산대(生産隊)로 편제되었고, 공동취사를 실시하여 가사노동으로부터 여성을 해방시켜 생산활동에 동원할 수 있게 했다. 그리하여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공산주의적 생산체제가 만들어졌다.
대약진 운동은 중·소(中蘇) 관계를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는데, 당시 중국은 자국이 소련보다 먼저 공산주의적 발전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약진의 과정에서 지나치게 열성적인 당 간부들이 소형 용광로에 농기구 등의 도구들을 녹여 강철을 만드는 일마저 종종 일어나자 불만을 품은 농민들이 수많은 가축들을 도살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했다. 대약진 추진과정에서의 이러한 오류는 연속적인 자연재해와 소련 기술고문의 철수로 더욱 악화되었다.
1960년초 중국 정부는 경제가 악화됨에 따라 대약진 운동을 철회하기 시작했다. 사유지와 농기구가 농민들에게 되돌려지고 전문기술이 다시 강조되기 시작했으며 공사 조직도 폐지되었다. 이러한 대약진의 실패는 당내의 분열을 초래했다.
당내외 반대 파벌은 대약진 실패의 원인을 정책추진과정에서 지나치게 열광적이었던 당간부들에게 돌리고 그들을 비난했다. 반면 당권파는 대약진의 실패로 미루어볼 때 중국의 경제발전에는 더 많은 전문기술과 물질적인 자극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마오쩌뚱[毛澤東]이 1966년초에 시작한 문화대혁명은 이들 당권파와의 대립의 소산이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