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58년에 중국이 도입한 대규모 지방 조직.
(병). renmin gongshe. (웨). jenmin kungshe. (영). people's commune.
처음에는 집단농장의 통합으로 시작되었지만, 농업활동에만 종사했던 집단농장과는 달리 지방 정부를 감독하고 모든 경제·사회 활동을 관리하기 위한 다목적 조직이 되었다. 가장 작은 구성단위는 생산대(生産隊)이고, 그 상부조직이 생산대대(生産大隊)이며, 생산대대가 모여 인민공사를 이루었다.
중국 사회제도의 기본단위인 인민공사는 1949년부터 중국에서 자주 일어난 정치적·경제적 정책의 급격한 변화를 그대로 반영했다. 비록 조직의 3단계 구조는 계속 유지되었지만 지방의 정책결정, 개인의 토지소유, 임금지불 등의 문제를 둘러싸고 끊임없는 갈등이 일어났다.
대약진운동(大躍進運動:1958~60)중에는 개인의 사유토지를 몰수하여 공동으로 소유하고 똑같은 임금을 지불했다. 그러나 1959~61년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뒤 인민공사는 다시 개편되었다. 조직의 평균 규모가 줄어들고 지방의 생산대에게 보다 많은 자치권이 부여되었으며, 사유 토지를 농민에게 돌려주고 작업량에 따라 임금이 지급되었다.
문화대혁명(1966~76)은 인민공사의 엄격한 조직화와 지방자치의 파괴를 초래했다. 생산량을 결정할 책임을 생산대대와 인민공사가 지게 되었고, 공산당 간부 및 군대가 책임을 지는 경우도 많았다. 개인의 토지소유와 작업량에 따른 임금지불은 반혁명적이라는 공격을 받았다.
이 혼란기에 뒤이어 특히 1976년 마오쩌둥[毛澤東]이 죽은 뒤 근대화 개혁이 이루어졌고, 공산국가인 중국에서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지방자치와 개인의 자율이 인민공사에 부여되었다. 1979년부터 인민공사는 차츰 해체되었고, 자영농민들은 사유토지를 경작하여 농산물을 시장에 내다 팔라는 권유를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