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직인 100
인 20세기 회화의 새로운 장을 열다
조르주 피에르 쇠라
Georges Pierre Seurat출생 | 1859년 12월 02일 |
---|---|
사망 | 1891년 03월 29일 |
국적 | 프랑스 |
대표작 | 〈그랑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아스니에르에서의 물놀이〉 등 |
19세기 신인상주의의 창시자로 색채의 표현을 과학적으로 체계화하며 독자적인 양식을 확립했다.
조르주 피에르 쇠라는 19세기 신인상주의의 창시자로, 색채와 빛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토대로 점묘법이라는 회화 기법을 개발하고 발전시켰다. 그는 인상파의 색채 원리를 ‘과학자다운 태도로’ 체계화했으며, 인상주의자들이 무시한 화면의 조형적 질서를 재구축했다고 평가받는다.
쇠라는 1859년 12월 2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법원 집달관으로, 부유한 부르주아 계층이었다. 그가 태어났을 때 44세였던 아버지는 그가 4살 무렵 은퇴하여 파리 근교 랭시의 별장에서 유유자적한 시간을 보내다 이따금 집으로 돌아왔으며, 쇠라는 파리의 아파트에서 어머니, 동생들과 살았다. 그는 8세 때부터 그림에 관심을 두었고, 9세 때 아마추어 화가였던 외삼촌에게 그림의 기초를 배웠다. 16세 때 조각가인 쥐스탱 르키앙에게 본격적으로 그림 수업을 받았으며, 19세 때 에콜 데 보자르에 들어갔다. 이곳에서 앵그르의 제자인 레만에게 사사했는데, 그에게 엄청난 영향을 미친 것은 레만의 교육이 아니라 도서관에서 본 한 권의 책이었다.
바로 제네바 출신의 화가 쉬페르빌이 쓴 이론서 《절대적인 미술 기호들에 관한 평론》이었다. 이 책을 읽고 쇠라는 미술에 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에 강한 흥미를 느꼈고, 이후 화학자 슈브뢸이 쓴 《색채의 동시 대비 법칙에 관하여》, 물리학자 루드가 쓴 《현대 색채론》 등을 공부했다. 쇠라는 1881년 들라크루아 작품의 색채 대비와 보색 관계를 이론적으로 분석한 글을 발표하기까지 한다.
1879년, 그는 제4회 인상주의 전시회에서 드가, 모네, 피사로의 작품을 보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으며, 인상주의 화풍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그해 그는 군대에 지원하여 약 1년간 북부 지방의 항구 도시 브레스트에서 복무했다.
이듬해 군 복무를 마치고 파리로 돌아온 그는 작업실을 빌려 색채 연구에 열중하는 한편, 바르비종파의 그림에 영향을 받은 아망 장과 함께 시골 풍경을 다룬 유화 습작들을 그렸다. 1884년, 그는 그동안의 연구 결과를 창작에 적용한 최초의 작품을 완성했다. 〈아스니에르에서의 물놀이〉가 그 작품이다. 그랑 자트 섬과 아스니에르는 파리 시민이 여가를 즐기기 위해 즐겨 찾던 교외 지역으로, 쇠라가 친구인 아망 장과 종종 놀러가던 곳이었다. 아스니에르에서 여가를 즐기는 노동자들을 그린 이 작품은 인상주의 기법을 기반으로 하되, 색채와 시각에 관한 연구를 하나의 기법으로 발전시켜 적용한 것이다.
즉 색채를 팔레트에서 섞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색채들로 작은 점을 찍어 화면 위에서 색채가 혼합되어 보이게 한 기법이었다. 이로 인해 팔레트나 캔버스에서 색을 직접 혼합했을 때 색채가 탁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화면이 희미하게 반짝이는 효과가 나타났다. 쇠라는 이 기법을 색채를 섞지 않고 분할해 칠한다는 의미로 디비조니슴(Divisionnisme, 분할주의), 혹은 직접 물감을 혼합하는 것과 달리 광학적 색채 혼합이라는 의미에서 ‘색채 광선주의(Chromo-luminarism)’라고 일컬었다.
이 작품은 살롱전에서 낙선했으나, 그해 5월에 열린 앵데팡당전에 전시되면서 천재 화가의 출현을 알렸다. 이 작품을 보고 비평가 펠릭스 페네옹은 “캔버스 위에 따로 분리되어 있는 색점들이 망막 속에서 재구성된다.”라고 말하면서, 본능적이고 직관적으로 그림을 그린 인상주의자와 이론을 바탕으로 한 쇠라의 체계적인 색채 실험을 구분했다. 이런 의미에서 그는 쇠라의 작품에 대해 ‘신인상주의’라는 이름을 붙였다. 또한 페네옹은 쇠라의 기법을 점묘법이라고 했는데, 이 용어는 쇠라가 선호한 분할주의보다 훨씬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폴 시냐크, 카미유 피사로 등의 화가와 상징주의 시인 에밀 베르하렌 등도 쇠라에게 엄청난 찬사를 보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점묘법을 전면적으로 사용한 본격적인 작품은 1886년경 완성한 〈그랑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이다. 쇠라는 〈아스니에르에서의 물놀이〉를 그릴 때와 마찬가지로 이 작품도 약 2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수많은 예비 습작을 했고, 유화로 완성한 이후에도 여러 번 손질을 가했다. 일요일 오후 여가를 즐기러 나온 파리 시민들의 모습을 정밀하게 표현된 이 작품에서 쇠라는 보색 관계에 있는 작은 점들을 수없이 찍어 점묘 기법을 완성시켰다. 이 작품은 순수색의 분할과 그로 인한 색채 대비가 확립된 작품으로 ‘신인상주의의 선언문’이라고 불린다. 이 작품은 저명한 화상 뒤랑 뤼엘의 주도로 뉴욕에서 열린 인상파 전시회에 출품되었고, 이후 파리에서 열린 마지막 인상파 전시회를 비롯해 브뤼셀에서 열린 20인 그룹전 등에 전시되면서 눈부신 성공을 거두었다.
1886년 여름, 쇠라는 옹플뢰르에서 휴가를 보내면서 〈옹플뢰르 항구〉, 〈옹플뢰르의 저녁〉, 〈옹플뢰르의 등대〉 등을 그렸는데, 이때까지도 자신의 색채 분할주의를 엄격히 적용했다. 그해 가을에는 새로 작업실을 얻어 〈포즈를 취한 여인들〉에 들어갈 다양한 포즈를 취한 여인들의 누드를 습작했다.
이 무렵 쇠라의 작품에 찬사를 마지않은 비평가 펠릭스 페네옹은 〈라 보그〉 지에 쇠라의 색채 실험을 소개하면서 미술 이론가인 샤를 앙리와 쇠라의 만남을 주선했다. 샤를 앙리는 선과 색의 표현 관계를 분석한 《과학적 미학 입문》이라는 저술을 발표한 인물이다. 두 사람은 의기투합하여 서로의 이론을 나누었고, 쇠라는 앙리의 이론을 바탕으로 선의 특성과 역할에 대해 숙고했다. 그리고 1888년 앙리의 이론을 적용한 〈서커스 사이드 쇼〉를 그렸다. 그리고 그해 연작으로 〈서커스 사이드 쇼〉, 〈포즈를 취한 여인들〉(이 작품들은 이전 습작인 〈서 있는 포즈의 여인〉, 〈앉아 있는 모습의 포즈〉, 〈옆모습의 포즈〉 등과 연작으로 묶인다) 등을 앵데팡당전에 출품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서커스 사이드 쇼〉 이후 그는 〈서커스〉, 〈샤위 춤〉 등을 발표하며 대중적인 오락을 소재로 다루었다. 이 작품들에서 그는 공중에 매달린 가스등의 불빛이 공간 안에 은은히 퍼지는 효과를 표현하는 실험을 했는데, 이 시기 그린 베생 항구와 그라블린 운하를 다룬 연작 회화들에서도 빛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바다의 대기를 압축된 이미지로 표현했다.
쇠라는 회화적 이론과 기법에 대한 연구를 점차 발전시켰으나 1891년 3월 29일 새벽 급작스럽게 죽음을 맞이했다. 3월 26일 그는 미완성인 〈서커스〉를 비롯해 5점의 작품을 앵데팡당전에 전시하기로 하고, 그림 배치를 감독하다 독감과 후두염 증세를 보여 집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3일 만에 증세가 악화되어 33세의 나이에 요절했다.
그는 짧은 시간 활동했으며 많은 작품을 남기지 못했지만, 미술사에 끼친 영향은 막대했다. 후대에 인상주의에 통합되어 다루어지며 폄하되기도 했으나, 인상파의 양식을 과학적으로 체계화하면서 홀로 독자적인 양식을 확립했다. 그의 과학적 이론과 기법은 신인상주의 화가들은 물론, 입체파, 미래파 등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탄생에 영향을 미치면서 세잔과 함께 20세기 회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미술사에 큰 영향을 끼친 100인의 예술가를 소개한다. 회화, 판화, 조각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을 소개하며 그들의 삶과 작품을 통해 역사와 예술의 관계의 흐름을 ..펼쳐보기
전체목차
미술사를 움직인 100인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조르주 피에르 쇠라 – 미술사를 움직인 100인, 김영은,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