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과학문화유산
답사기2

유연하고 상징적인 풍수지리

전통 마을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말은 배산임수다. 배산임수의 기본은 사신사로, 산의 전후좌우 사면에 있는 산을 뜻한다. 주산을 등지고 왼쪽에 있는 산을 청룡, 오른쪽에 있는 산을 백호, 앞에 있는 산을 주작, 뒤에 있는 산을 현무라 하고 일반적으로 좌청룡,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라고 한다.

조선이 탄생하자마자 새 수도를 서울로 정하고 왕궁을 건설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한 것이 풍수다. 경복궁의 주산은 북현무인 백악산이, 남주작은 관악산이, 좌청룡은 대학로 뒷산인 낙산이, 우백호는 인왕산이 맡았고 물은 경복궁 앞을 흐르는 한강이다. 이 같은 생각을 기초로 선정된 서울이므로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산과 강이 아름답게 어우러진 수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부분의 전통 마을이 이런 개념을 따라 조성되었다.

명당 개념도

배산임수의 기본은 사신사로, 산의 전후좌우 사면에 있는 산을 뜻한다.

ⓒ 북카라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 풍수지리의 특징 중의 하나는 거주 공간과 주변 환경의 관계를 중시하며, 주변 환경에 상징적인 해석을 한다는 것이다. 풍수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이 살 공간과 주변 경관에 대한 해석을 공유했다. 예를 들면 낙안읍성마을, 하회마을, 왕곡마을, 개평마을, 남사마을, 성읍마을 등은 행주형(行舟形) 입지이므로 마을에 우물 파는 것을 기피했다. 마을이 물에 떠 있는 배 형국이라 구멍을 뚫으면 배가 가라앉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행주형이 되려면 키, 돛, 닻, 노 등 배에 필요한 모든 도구를 갖추어야 하는데 평양, 청주, 무주, 공주, 안동 등이 이에 속한다고 한다. 행주형은 장차 출발하려는 배를 묶어둔 것으로 인식해 사람과 재화가 풍부하게 모인다고 믿었다. 사실 물이 근처에 없다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마을에 우물을 파지 않고 살아갔다는 것은 함께 살아가는 묘수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행주형 지세에서는 돌탑을 세우지 않는다. 돌탑이 무거우므로 배가 가라앉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 풍수의 특징은 이런 생각을 절대적인 규범으로 삼지 않고 보다 유연한 생각으로 바꾸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경북 청도군 운문사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운문사 터전은 행주형의 배에 비유되는데도 대웅보전 앞 좌우에 삼층석탑을 쌍으로 배치했다. 이유는 우물을 파지 않는 것의 정반대다. 배는 파도에 의해 언제든지 침몰할 수 있으므로 배를 안정적으로 지키기 위해 오히려 무거운 돌탑을 세웠다는 것이다. 풍수 자체를 현장에 맞는 형태로 변형한 것이다. 한국의 풍수가 유달리 장수하는 이유다.

운문사는 행주형 지형이지만 배를 안정적으로 지키기 위해 무거운 쌍탑을 세웠다.

ⓒ 북카라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자연을 최소한만 변화시켜 최상의 환경이 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를 위해 중국과는 달리 비보 풍수의 개념을 발달시켰다. 이상적인 공간을 마음먹은 대로 찾을 수 없으므로 인공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다는 것이다. 역으로 말한다면 인간의 적극적인 개입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전통 마을에서도 이를 통해 환경을 보완하는 방법이 발견된다.

안산이 취약한 경우 동수라 불리는 수목을 마을 전면이나 겨울철 주풍 방향에 조성해 방풍 효과를 얻기도 했다. 이는 풍수지리의 개념을 차용해 거주자들이 자연을 순화함으로써 삶에 보탬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선조들이 주어진 환경을 선용하는 것에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지 알 수 있다. 전통 마을이 현재까지도 남아 있는 이유는 풍수지리의 덕이라기보다는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려는 선조들의 노력 때문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윤선영, 「풍수지리의 주거 입지를 적용한 현대적 이해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년.
  • ・ 최준식, 「풍수」, 네이버캐스트, 2010년 5월 13일.
  • ・ 한필원, 『한국의 전통 마을을 가다』(북로드, 2004)
  • ・ 송갑득, 『낙안읍성』(순천시, 2012)

이종호 집필자 소개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페르피냥 대학교에서 공학박사 학위(Dr. Ing.)와 '카오스 이론에 의한 유체이동 연구'로 과학국가박사(Dr. d..펼쳐보기

출처

과학문화유산답사기2
과학문화유산답사기2 | 저자이종호 | cp명북카라반 도서 소개

역사가 남긴 신비로운 공간이자 과학이 담긴 지혜로운 공간인 한국의 전통 마을. 민족 특유의 역사와 문화, 과학까지 총체적으로 담겨 있는 우리 전통 마을을 소개한다.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유연하고 상징적인 풍수지리과학문화유산답사기2, 이종호, 북카라반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