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정말 궁금한
우리 예절

제사 남자와 여자의 횟수는 다른가요?

절 횟수

혼에 대한 설명에서 이야기했듯이 남자는 홀수이고 여자는 짝수입니다. 음양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남자가 1배를 할 때 여자는 2배를 합니다. 그런데 제사는 공경하는 마음을 더 담아서 곱절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남자는 2배이고 여자는 4배입니다. 이런 규정은 예서에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여자들은 매우 불만스럽습니다. 횟수의 차이가 여자에 대한 차별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조상의 제사를 모실 때는 2배(여자는 4배)를 하지만 더 큰 신에게 제사를 드릴 때는 절의 횟수가 다릅니다. 왕릉에서는 4배를 합니다. 여자라면 8배가 되겠지요. 그리고 하늘의 신이나 명산대천의 신에게도 4배를 해야 합니다. 조상신에게 하는 것의 곱절입니다. 단군의 자손인 우리는 개천절에 단군할아버지께 제사를 지냅니다. 그렇다면 민족의 시조신이니 4배를 해야 되겠지요. 하지만 여자는 항상 곱절을 더 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우주의 질서는 음양의 질서이므로, 음양인 남녀는 그 질서를 따르지 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과연 그런 것일까요?

다시 생각하기

절에 다니는 분들은 108배에 대해 들어보았을 겁니다. 유교식 절과는 달리 불교의 절은 두 무릎을 땅에 대고, 두 팔꿈치를 대고, 나중에 이마를 땅에 댑니다. 다섯 군데를 공손하게 낮추는 모양입니다. 부처, 불법, 불교 공동체에 대한 최고의 공경을 나타냅니다. 불교에서는 여자건 남자건 절의 횟수에 차별이 없습니다. 유교에서만 횟수에 차별을 두고 있습니다. 이 점 때문에 유교는 여자를 차별하고 여자의 인권을 억압한다는 소리를 듣습니다.

제사 자체에 여자의 자리가 없는데, 절의 횟수는 분명 성차별의 소지가 있습니다. 음양 논리로 답변한다면 그것을 우주의 질서라고 설명하는데, 그렇게 되면 아무것도 나아지는 것이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남녀가 모두 같은 횟수로 절을 해도 누가 뭐라고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하면 또 어떨까요? 부처님께는 많이 절을 할수록 절한 그 사람이 존경을 받습니다. 뭔가 절실한 마음을 절을 통해 표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자들의 수는 음수로 최소의 수가 2입니다. 하지만 남자는 원래 1이 아닌 3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1은 홀수지만 수의 기본이 되기 때문에 음수와 양수를 모두 아우르는 것이라 생각하는 것입니다. 실질적인 홀수의 시작은 3입니다. 그러니 남자가 3배 하고 여자가 2배 하는 것은 어떨까요? 그러면 성차별이 아닐까요? 혹 남자 중심의 세상에 반감이 많은 사람은 절을 많이 하는 것도 차별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절의 횟수가 많다고 해서 성차별이 아니라, 뿌리 깊은 남성 중심의 질서에 대한 반감이 일을 만든 것은 아닐까 합니다. 우주의 질서가 그대로 옮겨져 와서 사람들의 행위 양식에 반영된 것이라면, 절의 횟수에 대한 반감이 적어지지 않을까요? 여자가 아니라서 그런다고 하면 할 말이 없습니다.

어떤 예절이든 그것을 향유하는 사람들이 기피하거나 싫어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서는 음양의 질서에 따르는 것이 최선의 삶이라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제사에 관한 이런저런 것들이 못마땅합니다. 절의 횟수가 성차별인 것이 아니라, 제사 자체에 대한 무관심과 그것의 근거가 되는 원리적인 측면을 의심하기 때문에 성차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지금 시대의 제사는 예전처럼 특권을 주장할 수 없을 듯합니다.

ⓒ 예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창일 집필자 소개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했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강절의 선천역학과 상관적 사유』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학(동양학)의 귀한 자원을 보편적 학문으로 만들고 인..펼쳐보기

출처

정말 궁금한 우리 예절
정말 궁금한 우리 예절 | 저자이창일 | cp명예담 도서 소개

그동안 뜻도 모르고 따라했던 관혼상제 속에 숨어 있는 의미를 찾는다.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 예절의 행위나 절차에 어떤 의미가 들어 있는지, 전통 예절 중에서 가례에 ..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제사 때 남자와 여자의 절 횟수는 왜 다른가요?정말 궁금한 우리 예절, 이창일, 예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