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전체항목

과학문화유산답사기2

과학문화유산답사기2 

역사가 남긴 신비로운 공간이자 과학이 담긴 지혜로운 공간인 한국의 전통 마을. 민족 특유의 역사와 문화, 과학까지 총체적으로 담겨 있는 우리 전통 마을을 소개한다. 자세히보기

저자이종호 | 출판사북카라반

조회순 표제어 목록

  • 낙안읍성마을 (사적 제302호) 강골마을을 지나 방향을 남쪽으로 잡아 주변을 음미하면서 달리다보면 조선 시대 지방 계획도시인 낙안읍성마을에 도착한다. 읍성은 지방 군현의 주..
  • 다랭이마을 낙안읍성을 떠나 다랭이마을로 가는 길은 경상남도가 자랑하는 바래길이다. 바래는 남해 사투리로 바다에 조개를 캐거나 해조류를 채취하러 가는 것..
  • 남사마을 (남사예담촌) 다랭이마을과 남해의 아름다운 도로를 다시 한 번 음미하면서 또 다른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는 남사마을로 향한다. 한국의 땅덩이가 좁은 데다 ..
  • 외암마을 (국가민속문화재 제236호) 첫 번째 답사지로 외암마을을 잡은 데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중요 민속 문화재로 지정된 일곱 마을 중 하나이며 앞으로 답사할 마을 중에서 가..
  • 한개마을 황산마을의 벽화와 수승대 등을 한껏 맛본 후 한개마을로 향한다. 이곳은 2007년 전국에서 7번째로 지정된 중요 민속자료 제255호다. 전통..
  • 개평마을 남사마을에서 나와 한국에서 내로라하는 양반들도 맥을 못 춘다는 개평마을로 향한다. 조선 시대 성리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일..
  • 명당 개념도 유연하고 상징적인 풍수지리 전통 마을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말은 배산임수다. 배산임수의 기본은 사신사로, 산의 전후좌우 사면에 있는 산을 뜻한다. 주산을 등지고 왼쪽에..
    태그 조선,
  • 초가집과 황토는 금상첨화 한옥의 기본은 기와집과 초가집이지만 우리나라의 기후나 자연 환경에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은 초가집이다. 초가집은 한국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
    태그 건축양식
  • 왜 목조 건물에는 고층이 없을까 중국이 자랑하는 베이징의 쯔진청을 보면 규모도 거대하지만 높이도 한국의 건물보다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유럽의 건물과 비교하면 낮..
    태그 건축양식
  • 황산마을 개평마을에서 황산마을로 가는 길에는 가로수로 배롱나무가 줄이어 있으며 꽃이 만개했을 때의 모습은 아름다움 그 자체이므로 꼭 한번 달려보길 권..
  • 자연, 한옥에 깃들다 한옥의 특징 중 하나는 자연 재료를 적절히 사용했다는 점이다. 이 말은 한옥을 건축하면서 가공을 최소화했다는 뜻과 다름없다. 휜 나무는 휜 ..
    태그 건축양식
  • 성읍마을 한라산 중산간 지대에 있는 성읍마을은 제주가 3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있을 때 정의현이라 불렸던 곳의 도읍지다. 1400년대부터 구한말까..
  • 강골마을 보성이라면 많은 사람이 차밭과 영화 〈서편제〉를 떠올릴 것이다. 서편제의 비조 박유진의 뒤를 이어 오늘날 조상현, 성창순 등 판소리 명창을 ..
  • 도래마을 광주시에서 약 20킬로미터 떨어진 다도면에 있는 도래마을은 조선 시대 사대부 가옥이 많이 남아 있는 전형적인 한옥 마을로, 가구 수가 거의 ..
  • 전통 마을 마을은 촌락, 부락, 취락 등과 같은 의미로 쓰이며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은폐되고 자연 울타리인 골을 테두리로 같은 물을 사용하면서 공동체..
    태그 문화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