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연합연감

참여정부 퇴직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2008년 연감 보러가기 / 정치 / 지방행정자치ㆍ경찰 / 행정 인사 현안
툴바 메뉴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재임 5년간 재산이 4억7천200여만 원에서 9억7천200여만 원으로 5억 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참여정부 고위공직자 퇴직 재산신고 내역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의 재산은 2월 말 퇴임 당시 9억7천224만2천 원으로 집계됐다. 노 전 대통령의 재산은 취임 직후인 2003년 3월에는 4억7천200여만 원, 2007년 1월에는 8억7천76만 원으로 신고됐다. 노 전 대통령은 퇴임 뒤 살고 있는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사저를 10억6천155만2천 원으로 신고했으며, 사저 신축을 위한 순수 금융부채가 4억6천7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문재인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직전 재산신고일인 2007년 3월 당시 재산이 8억9천504만8천 원이었으나 부산 강서구에 보유한 대지와 밭, 창고 등을 매각하면서 퇴직 때는 8억7천340만8천 원으로 2천만 원 정도 줄었다. 참여정부 마지막 총리인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2007년 4월 신고한 재산이 31억3천129만1천 원에서 퇴임 때는 32억8천308만1천 원으로 1억5천179만원이 늘었고, 권오규 전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퇴임 당시 재산이 13억3천953만1천 원으로 직전 신고(2007년 1월) 때보다 2천125만9천 원이 늘어나는데 그쳤다.

참여정부 마지막 장관 가운데 최다 자산가는 정성진 전 법무장관으로, 재산이 2007년 1월 95억1천748만9천 원이었으나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퇴임 때는 11억7천979만 원이 늘어난 106억9천727만9천 원에 달했다. 반면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은 직전 신고일인 2006년 12월 재산이 3억394만3천 원이었으나 퇴임 때는 불과 192만1천 원이 늘어난 3억586만4천원으로 참여정부 마지막 장관 가운데 재산이 가장 적었다. 또 김창호 전 국정홍보처장의 경우 2007년 1월 당시 8억2천400만5천 원에서 퇴임 때인 지난 2월말에는 11억4천673만1천 원으로 3억2천272만6천 원이 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OP으로 이동

관련연감

행정 인사 현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