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일제강점기 조회순 목록
-
정우회 선언 (正友會宣言) 1926년 4월 서울에서 조직된 사회주의 사상운동단체인 정우회가 사회주의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밝힌 선언. 파벌투쟁의 청산과 사상단체의 통일..
-
회사령 (會社令) 1910년 12월 조선총독부가 공포한 회사 설립에 관한 제령(制令). 조선을 강점한 1910년 이후의 10년간, 일본정부와 조선총독부는 이른..
-
브나로드 운동 (V narod movement)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귀족청년과 학생들에 의해 전개된 농촌운동. '브 나로드'(v narod)란 러시아 말로 '민중 속으로'라는 뜻이다. ..
-
암태도 소작쟁의 (巖泰島 小作爭議) 1923년 8월부터 1924년 8월까지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의 소작인들이 벌인 소작농민항쟁. 암태도의 소작인들은 암태소작인회를 조직해, 약..
-
조선사편수회 (朝鮮史編修會) 조선사편찬위원회를 확대·강화하여 발족시킨 기구. 조선총독부는 조선사편찬 작업을 더 강력히 추진하기 위해 1925년 조선사편수회관제를 공포하여..
-
조선토지조사사업 (朝鮮土地調査事業) 일제가 1910~18년에 걸쳐 2,040여 만 엔의 경비를 투입, 토지소유권·토지가격·지형지모(地形地貌)를 조사하여 토지제도와 지세제도를 확..
-
일진회 (一進會) 1904년에서 1910년 사이 송병준의 유신회를 개칭한 일진회에 이용구의 진보회를 흡수 통합한 친일단체. 1904년 8월 18일 구 독립협회..
-
봉오동부근전투상보 (鳳梧洞附近戰鬪詳報) 1920년 6월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 안천 추격대가 우리 독립군에게 참패했던 패전경위에 대해 작성한 보고서. 표지 제목은 ‘鳳梧洞附近戰鬪詳..
-
3·1 운동 (기미독립운동, 三一運動)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해 1919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전국에서 일어난 항일독립운동.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
-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韓日日本軍慰安婦合意) 2015년 12월 28일 한국과 일본의 외교부 장관 사이에서 이루어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합의.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이하..
-
조선형평사 (朝鮮衡平社) 1923년 결성된 전국적 규모의 운동 조직. 1894년 갑오개혁으로 백정이라는 신분적 차별이 법률적으로 철폐되었으나 실생활에서는 차별이 여전..
-
조선독립동맹 (朝鮮獨立同盟) 1942년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동맹. 조선독립연맹은 중국공산당과의 연계하에 광범위한 통일전선을 조직 기반으로, 반제반봉건민주혁명을..
-
박두성 (송암(松庵), 朴斗星) 일제강점기 한글 점자(點字)를 창안한 교육자. 본관은 무안(務安). 호는 송암(松庵). 인천광역시 강화군(구 경기도 강화군) 출신. 1906..
-
조선의용군 (朝鮮義勇軍) 일제강점기 때 만주에서 활동하던 독립군 부대. 1938년 무한에서 조직된 조선의용대의 일부 부대는 옌안 지역으로 이동해서 중국 공산당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