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발해 조회순 목록
-
발해 (진국(振國), 渤海) 발해는 698~926년, 한반도 북부에서 중국 동북 랴오닝성 ‧ 지린성 ‧ 헤이룽장성과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 걸쳐 존속하며 통일신라와 함께 ..
-
무왕 (武王)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2대(재위:719~737) 왕. 이름은 대무예(大武藝)이며 발해국의 건국자 대조영(大祚榮)의 아들이다. 713년(고왕 1..
-
정효공주 묘 (貞孝公主 墓)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和龍市) 용수향(龍水鄕) 용해촌(龍海村) 용두산(龍頭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 제3대 문왕의 넷째 딸 ..
-
천문령전투 (Cheonmunryung Battle) 696년 대조영(大祚榮)이 이끄는 고구려유민이 천문령(天門嶺)에서 당군(唐軍)을 격파한 전투. 고구려 멸망 후 사민된 대조영 집단은 당의 영..
-
발해의 멸망과 부흥 운동 발해는 거란에 의해 멸망하였으며, 발해 유민의 부흥 운동은 12세기 초까지 이어졌음. 발해는 제10대 선왕 이후 점차 쇠퇴의 기미를 보였다...
-
고왕 (高王)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1대(재위:698~719) 왕. 본명은 대조영(大祚榮)이다. 고구려 유민으로서 고구려 멸망 후 당나라의 영주(營州) 지방..
-
이불병좌상 (二佛竝坐像) 중국 지린성[吉林省] 훈춘현[琿春縣] 반라성지[半拉城址, 八連城址]에서 출토된 발해시대의 불상. 높이 29㎝. 일본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발..
-
문왕 (대흠무(大欽茂), 文王)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3대(재위:737~793) 왕. 이름은 대흠무(大欽茂)이며 무왕(武王)의 아들이다. 1980년에 발견된 정효공주(貞孝公主..
-
동모산 (동모산성, 東牟山) 중국 길림성 돈화시에 있었던 발해시대의 수도. 동모산성(東牟山城)을 뜻하기도 하며, 698년대조영(大祚榮)이 발해를 건국한 뒤 제3대 문왕 ..
-
걸걸중상 (대걸걸중상(大乞乞仲象), 乞乞仲象)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1대 고왕의 아버지인 왕족. 『신당서(新唐書)』발해전에 의하면 걸걸중상(乞乞仲象)은 고구려에 복속되었던 속말말갈족(粟末靺..
-
3성 6부 (三省六部) 발해의 중앙정부기구. 선조성·중대성·정당성의 3성과, 정당성 밑에서 행정실무를 관장했던 충·인(仁)·의(義)·지(智)·예(禮)·신(信)의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