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철기시대 조회순 목록
-
철기시대 (鐵器時代) 인류가 철을 이용해 도구로 사용하게 된 시기부터 역사시대 이전까지의 시기. 한국 고고학에서 철기시대란 철기가 사용되기 시작한 서기전 300년..
-
명도전 (언도(匽刀), Myungdojeon)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중국 전국시대의 화폐. ‘언도(匽刀)’·‘이도(易刀)’ 등으로도 불린다. 손칼〔刀子〕으로부터 나오게 된 손칼모양 동제..
-
따비 따비는 논이나 밭을 가는 원시적인 형태의 농기구이다. 지역에 따라서 따부·따보·탑 등으로 불린다. 농경문화 발생 이전 수렵채집민이 사용하던 ..
-
원삼국시대 (삼한시대, 原三國時代) 우리나라 고고학 편년상 초기철기시대와 삼국시대 사이의 시기. 삼한시대·철기시대Ⅱ기·부족국가시대·성읍국가시대·삼국시대 초기·삼국시대 전기. 원..
-
오수전 (五銖錢) 오수전(五銖錢)은 서기전 2세기 말부터 한반도에 유입되어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분묘와 취락지, 성터, 절터 등에서 출토되는 중국의 고대 화폐..
-
다뉴세문경 (정문경(精文鏡), 多鈕細文鏡) 초기 철기시대에 제작된 청동제 거울. 일본 중요문화재. 도쿄[東京]국립박물관 소장 정문경(精文鏡)은 복잡한 기하학 무늬를 거울 뒷면에 정교하..
-
시흥 오이도 유적 (오이도조개더미, 始興 烏耳島 遺蹟) 시흥오이도유적은 신석기시대부터 초기 철기시대, 원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경기도 시흥시 오이도 내 각지에 조성된 패총과 생활유적이..
-
철기 시대의 유물 (relic of Iron Age) 철기 시대의 유물로는 쇠부리터, 움무덤, 와질토기 등이 대표적임. 철기 시대 사람들이 남긴 유적으로는 무덤·집터·생활쓰레기터 및 쇠를 녹여 ..
-
원산도 패총 (보령원산도패총(保寧元山島貝塚), 元山島 貝塚) 원산도패총은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원산도에 있는 신석기시대에서 고려시대까지의 조개더미이다. 원산도에서는 총 35개 지점의 발굴을 통해 구석..
-
월계동 장고분 (광주월계동장고분, 月桂洞 長鼓墳) 월계동장고분(月桂洞長鼓墳)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있는 삼국시대의 전방후원분이다. 발굴 조사 결과 전방후원분이라는 분형과 이를 둘러싼 방패형 ..
-
철기 (鐵器) 철기는 철기시대 이후 인류가 철을 소재로 만든 도구, 무기, 기구의 총체이다. 인류는 서기전 2,000년부터 인공철을 생산하기 시작하여 이후..
-
와질토기 (연질토기, 瓦質土器) 와질토기(瓦質土器)는 실내가마에서 900℃ 정도의 고온에서 구워 낸 원삼국시대 영남 지역에서 유행한 회색의 약간 무른 토기이다. 태토의 정선..
-
봉니 (封泥) 고대 낙랑군에서 공문서를 봉함하기 위하여 묶은 노끈의 이음매에 붙이는 인장을 눌러 찍은 점토덩어리. 봉니(封泥)는 죽간(竹簡) · 목간(木簡..
-
창원 다호리 고분군 (다호리고분군, 昌原 茶戶里 古墳群)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에 있는 철기시대 이후 널무덤·독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사적. 1988년 9월 3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면적..
-
광주 신창동 유적 (광주신창동저습지유적, 光州 新昌洞 遺蹟) 광주신창동유적은 서기전 2세기경의 초기 철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에 걸쳐 영산강 상류 지역에 형성된 생산 및 생활, 매장, 교역 활동 등이 망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