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관직 조회순 목록
-
단군기원 (檀君紀元) 단군왕검이 즉위하여 단군조선을 개국한 해인 서기전 2333년을 원년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기원. 줄여서 ‘단기’라고 한다. 『삼국유사』 기이(..
-
유사 (有司) 단체 또는 자생적 모임에서 사무를 맡아보는 직책. 흔히 ‘소임(所任)’이라고도 한다. 전통사회의 향교·서원·이정(里政) 등과 필요에 의해 구..
-
호조판서 (戶曹判書) 조선시대 6조의 하나인 호조의 장관. 조선시대 행정실무기관인 6조는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를 말한다. 호조는 조선 성립 직후인 13..
-
영돈녕부사 (영부사, 領敦寧府事) 조선시대 돈녕부에 소속된 정1품 관직. 정원은 1원이다. 1414년(태종 14) 정월에 돈녕부가 신설될 때 영부사(領府事)라는 이름으로 처음..
-
전교 (典校) 지방향교를 관리하는 직원(直員). 지방문묘를 수호하는 한편, 지역사회의 윤리문화의 창달을 위하여 활동하는 향교의 책임자이다. 원래 향교는 지..
-
다루가치 (darughachi) 고려에 파견되었던 몽골 관직 중의 하나. 다루가치는 '진압한다'는 뜻의 daru에 명사어미 gha와 '사람'을 가리키는 chi를 붙여서 '진..
-
상장군 (上將軍) 고려시대 중앙군의 최고지휘관. 이군육위에 각 1인씩 소속되어 8인의 상장군이 편제되어 있는데, 무반으로는 최고의 품계인 정3품이다. 정1품의..
-
지중추부사 (知中樞府事) 조선시대 중추부에 소속된 정2품의 관직. 조선 건국 직후 태조는 고려 말기의 밀직사의 예에 따라 중추원에 종2품의 동지원사 4인을 두었다. ..
-
별감 (別監) 조선시대 유향소(留鄕所)에 소속된 관직. 1400년(태종 즉위년) 이전에 고려의 사심관(事審官) 제도와 관련되어 유향소가 설치되면서 비롯되었..
-
한림학사 (翰林學士) 한림학사는 우리나라에선 고려 초기부터 있던 청요직이었다. 학사승지와 함께 왕의 행행 때에 호종하고 왕의 명령을 문서로 꾸미는 일 등을 맡아 ..
-
포도대장 (捕盜大將) 조선시대 포도청의 책임자. 포도청의 직제는 〈경국대전〉 반포 후에 만들어져 〈속대전〉부터 법전에 수록되었다. 종2품직으로 좌·우포도청에 1명..
-
대사헌 (도헌(都憲), 大司憲) 고려·조선시대 사헌부의 종2품 관직. 도헌(都憲)이라고도 하였다. 정원은 1인이다. 사헌부는 시정(時政)을 논집(論執)하고 백관을 규찰하며,..
-
어진화사 (어용화사(御用畵師), 御眞畵師) 왕의 초상화를 그리는 화사(畵師). 어진(御眞) 제작에 앞서 어용화사의 선발은 우선 대신들이 당대 화가들 중 초상화를 잘 그리는 자들을 천거..
-
참찬 (參贊)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의정부의 정2품관직인 참찬은 1415년(태종 15) 1월에 전년부터 실시된 육조직계제(六曹直啓制)로 의정부기..
-
지의정부사 (知議政府事) 조선시대 국정을 총괄하던 관서인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의정부는 조선시대에 백관을 통솔하고 서정을 총괄하던 최고의 정치기관으로 낭묘, 도당,..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