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고구려 조회순 목록
-
안장왕 (흥안, 安臧王) 고구려의 제22대 왕이자 문자명왕의 첫째 아들로 이름은 흥안. 문자명왕 사후 왕위에 올랐으며, 즉위 후에 양나라 고조와 북위 효명제로부터 고..
-
양원왕 (양강상호왕(陽崗上好王), 陽原王) 삼국시대 고구려 제24대(재위:545~559) 왕. 양강상호왕(陽崗上好王) 또는 양강왕(陽崗王)이라 했으며 이름은 평성(平成)이다. 안원왕(..
-
을지문덕 (위지문덕(尉支文德), 乙支文德) 삼국시대 살수에서 수나라 군대를 물리친 고구려의 관리. 무신. 『자치통감(資治通鑑)』에는 ‘위지문덕(尉支文德)’이라고도 표기하였다.『삼국사기..
-
남생 (원덕, 男生) 28세에 막리지에 임명되어 삼군대장군을 겸했다. 연개소문 사후 32세에 대막리지가 되어 국정을 맡아 여러 성을 순시하면서 아우 남건과 남산을..
-
차대왕 (수성(遂成), 次大王)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7대(재위:146~165) 왕. 재위기간은 146년(혹은 121년)부터 165년까지이며 이름은 수성(遂成)이다.『삼국사기..
-
대모달 (막하라수지, 大模達) 고구려 후기의 최고 무관직. 막하라수지, 대당주라고도 하며 조의두대형 이상의 관등을 갖는 자만이 역임할 수 있는 최고의 무관직이다. 당나라의..
-
봉황성 (오골성, 鳳凰城) 중국 요령성 봉성진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성곽. 산성. 고구려 산성 가운데 가장 큰 산성의 하나로, 오골성(烏骨城)이라고 불렸다. 압록..
-
태왕릉 (우산하 541호분, Taewangreung)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태왕향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왕릉으로 추정되는 돌무지무덤. 적석총. 태왕릉은 중국 길림성 집안시 태왕..
-
모본왕 (고구려 제 5대 왕, 慕本王) 고구려의 제 5대 왕으로, 이름은 해우, 또는 해애루. 어려서 태자에 책봉되었으나 대무신왕 사후 나이가 어려 즉위하지 못하고, 민중왕의 뒤를..
-
금동 계미명 삼존불 입상 (金銅 癸未銘 三尊佛 立像) 삼국시대의 불상.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다란 원통형 연화좌 위에 광배와 삼존불을 한 틀로 주조한 일광삼존(一光三尊)의 형식을 취하..
-
대대로 (토졸(吐捽), 大對盧) 고구려 제1위의 관등으로서 국정을 총괄하는 임무를 지닌 고구려의 수상직. 대대로(大對盧)는 일명 ‘토졸(吐捽)’이라고도 한다. 부족장적 신분..
-
고구려 미술 (高句麗美術) 4세기경부터 고대국가로 팽창하면서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여 668년 신라에 의해 삼국이 통일될 때까지의 고구려 시대의 미술. 우리나라 고..
-
연호 (인가(人家), 烟戶) 가족공동체를 중심으로 국가영역 내의 백성을 편성한 행정단위. 인가(人家)·민호(民戶)·연(烟). 연호(烟戶)는 일반적으로 인가(人家) ·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