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고구려 말기에 등장한 관직으로, 처음에는 국사를 총괄하는 일을 하다가 연개소문이 정치·군사권을 장악한 뒤 국정을 도맡아 처리하는 최고 관직이 되었다. 막리지·대막리지·태대막리지 등이 있었다. 고구려 제1관등인 대대로를 막리지라 하고, 여러 막리지가 있어 3년을 임기로 돌아가면서 국사를 총괄했다는 주장이 있으며, 또 막리지를 제2관등인 태대형의 다른 이름으로 보아 왕권이 약화되고 귀족세력이 커져 강력하게 권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대대로 대신 태대형을 막리지로 하여 실권을 잡았다는 주장도 있다. 처음으로 기록에 나타나는 막리지는 연개소문인데, 이렇듯 초월적인 권한을 가진 막리지를 대막리지라고도 불렀다. 대막리지는 당나라 중서령과 병부상서를 겸임하는 직책이라고 한다. 연개소문의 아들대에는 태대막리지라고도 했다.
말기에 등장한 관직으로, 처음에는 국사를 총괄하는 일을 하다가 연개소문이 정치·군사권을 장악한 뒤 국정을 도맡아 처리하는 최고 관직이 되었다(→ 연개소문). 막리지·대막리지·태대막리지 등이 있었다.
관계 기록이 적어 여러 주장이 많은데, 먼저 고구려 제1관등인 대대로를 막리지라 하고, 여러 막리지가 있어 3년을 임기로 돌아가면서 국사를 총괄했다는 주장이 있다. 또 막리지를 제2관등인 태대형(太大兄)의 다른 이름으로 보아, 왕권이 약화되고 귀족세력이 커져 강력하게 권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대대로 대신 태대형을 막리지로 하여 실권을 잡았다는 주장도 있다.
처음으로 기록에 나타나는 막리지는 연개소문으로, 자신을 반대한 귀족들을 숙청하고 강력한 정치·군사 권력을 행사했다. 이렇듯 초월적인 권한을 가진 막리지를 이전의 막리지와 구분하기 위해 대막리지라고도 불렀다. 기록에 의하면, 대막리지는 당나라 중서령(中書令)과 병부상서를 겸임하는 직책이라고 한다. 연개소문의 아들대에 들어와서 태대막리지라고도 했다.→ 대막리지, 태대막리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구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