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상어 shark개요 연골어류 악상어목의 어류를 두루 부르는 말. 지질학적 기록에 의하면 상어의 기원은 데본기로 전해지며 오늘날의 상어는 쥐라기 초기에 나타났다. 보통 어류를 먹고 살며 떼지어 공격한다. 악상어류·청상아리류처럼 대양에 사는 종들은 수면 근처에서 다랑어류·청새치류 등을 잡아먹는다. 바다 아래에서 먹이를...
- 분류 :
- 척추동물 > 연골어강 > 악상어목
- 서식지 :
- 바다
- 먹이 :
- 물범, 거북이, 다랑어, 청새치
- 크기 :
- 약 16cm~18m, 매우 다양
- 식성 :
- 육식
- 수명 :
- 약 20~30년
-
사냥 칸타타 208번 ‘나의 즐거움은 힘이 나는 사냥 뿐!’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Was mir behagt, ist nur die muntre Jagd! BWV208가장 유명한 곡이다. 합창은 독창 사이사이, 그리고 마지막에 등장해 대미를 장식하는데, 피날레 합창 ‘사랑스런 눈길이여, 즐거운 시간이여, 영원히 행복을 누리라’는 사냥호른의 리토르넬로와 호모포닉한 합창 서법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 음악세계 & 음악사연구회(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음악세계와...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성악음악 > 칸타타
- 제작시기 :
- 1713년
- 작곡가 :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 초연 :
- 1713년 2월 23일
- 출판 :
- 1881년
- 편성 :
- 소프라노(디아나), 소프라노(파레스), 테너(엔뒤미온), 베이스(판), 4부 합창, 목제플루트 2, 오보에 2, 오보에 다 캇차, 바순, 코르노 다 캇차(사냥용 호른) 2, 바이올린 2부, 비올라, 바소 콘티누오
-
고래사냥 잔혹사마리가 공기방울 그물을 만들어 생선을 사냥하기도 한다. 학습능력이 뛰어나고 자식과의 유대도 깊다. 일본,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등 상업적 고래잡이를 하는...잘 알아서였다. ‘현대화’가 됐다지만 고래잡이는 한 세기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게 없다. 포경선은 몇 시간이고 고래를 쫓는다. 공포에 질린 고래...
-
구석기인이 생각한 자연과 인간과 정신 자의식과 윤리의식의 형성적당한 길이와 굵기를 지닌 나뭇가지를 잘라 뾰족하게 다듬으면 될 일이다. 하지만 활은 현상적 사고를 넘어서는 원리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새로운 공간과 시간 개념을 전제로 만들어질 수 있는 무기다. 사냥 대상이 되는 동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타격이 가능하다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 또한 활은 돌을 던지는...
-
예절의 정신 얻으려거든 먼저 주어라원시인들은 사냥에 성공한 장소에 자신이 지니고 있던 물건을 두고 간다고 합니다. 혹 열매를 딴 장소에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하고요. 이것은 왜일까요? 하나를 얻었으니 그 빈자리에 하나를 준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동물과 열매는 어디론가 사람의 입속으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원시인이 가지고 있던 것과 자리를...
-
-
북극곰 북극의 해빙 위에서 생활하는 바다의 곰사용해 고리무늬물범이나 긴턱수염물범 등을 주로 사냥한다. 북극곰은 1.6km 거리에 있거나 눈 아래 1m 정도 파묻힌 물범을 냄새로 감지할 수 있다. 사냥할 때는 몇 시간 이상 조용히 기다리다가 물범이 숨쉬기 위해 얼음 구멍으로 올라올 때 공격한다. 얼음 위에서 쉬고 있는 물범에게 조용히 다가가 사냥하기도 한다...
- 분류 :
- 척삭동물문 > 포유강 > 식육목 > 곰과 > 큰곰속
- 서식지 :
- 북극해
- 먹이 :
- 물범 등
- 크기 :
- 약 2m ~ 3m
- 무게 :
- 약 150kg ~ 650kg
- 학명 :
- Ursus maritimus
- 식성 :
- 잡식
- 임신기간 :
- 약 195 ~ 265일
- 멸종위기등급 :
- 취약(VU)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