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북극곰

Polar Bear

북극의 해빙 위에서 생활하는 바다의 곰

요약 테이블
분류 척삭동물문 > 포유강 > 식육목 > 곰과 > 큰곰속
서식지 북극해
먹이 물범 등
크기 약 2m ~ 3m
무게 약 150kg ~ 650kg
학명 Ursus maritimus
식성 잡식
임신기간 약 195 ~ 265일
멸종위기등급 취약(VU)

북극에 서식하는 곰과 큰곰속의 곰. 북극의 환경에 걸맞게 흰색으로 보이는 투명한 털로 덮여 있다. 대부분의 시간을 빙하 위에서 보내며 물범 등을 사냥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으면서 멸종위기에 놓여 있다.

기후변화를 상징하는 멸종위기동물

북극곰

ⓒ NaturesMomentsuk/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북극 전역에 서식하는 곰이다. 북극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코디악곰과 함께 가장 몸집이 큰 곰에 해당한다. 육지에서 태어나지만, 대부분 시간을 해빙 위에서 보내며 빙하 가장자리에서 바다표범을 사냥한다. 해빙에 의존하고 바다에서 식량을 구해 해양 포유류로 분류한다. 수천 년 전부터 이누이트를 포함한 북극 원주민 문화에서 북극곰은 핵심적인 동물이었다.

북극곰은 기후변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멸종위기동물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으면서 개체수가 줄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멸종 우려로 인해 1950년대부터 캐나다와 노르웨이 등에서 북극곰 사냥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다. 인간이 직접 맞닥뜨리거나 공격하면 매우 위험하다.

외형적 특성

북극곰의 온몸은 흰색으로 보이는 투명한 털로 덮여 있다. 털 길이는 5~15cm 정도다. 나이 든 북극곰일수록 털이 노란색으로 보인다. 북극곰은 가장 몸집이 큰 곰의 하나로 수컷의 무게는 약 350~700kg, 어깨높이 약 1.6m, 몸길이 2.4~3m 정도다. 암컷은 무게 약 150~250kg, 몸길이 약 1.8~2m로 수컷의 절반 정도 크기의 몸집을 가지고 있다. 꼬리 길이는 약 7~13cm로 곰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짧다.

물을 바라보는 북극곰

ⓒ FloridaStock/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 큰곰과 곰보다 몸이 길다. 긴 목이 상대적으로 작은 머리를 받치고 있다. 몸에 비해 짧은 다리와 작은 귀를 가지고 있다. 발은 크고 넓적해 눈이나 얇은 얼음 위를 걸을 때 체중을 분산시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돕는다. 수영할 때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털이 많은 발바닥은 발을 추위로부터 차단하고 보호한다. 발톱은 짧고 날카롭다.

생태

흰 털 때문에 얼음이나 눈 위에서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헤엄을 잘 치고 육상에서도 재빠르게 넓은 지역을 이동한다. 영역동물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혼자 생활한다. 단, 몇몇 북극곰들은 함께 몇 시간씩 놀거나 포옹하고 잠들기도 한다. 젊은 수컷들은 자주 장난을 치고 놀며 짝짓기 시기에는 매우 격렬하게 싸우기도 한다. 그러나 본래 북극곰은 잘 싸우지 않으며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 북극곰은 평소에 조용하지만, 다양한 소리를 통해 의사소통할 수 있다.

곰 중에서는 가장 육식성이 강하다. 주된 먹이는 물범으로 뛰어난 후각을 사용해 고리무늬물범이나 긴턱수염물범 등을 주로 사냥한다. 북극곰은 1.6km 거리에 있거나 눈 아래 1m 정도 파묻힌 물범을 냄새로 감지할 수 있다. 사냥할 때는 몇 시간 이상 조용히 기다리다가 물범이 숨쉬기 위해 얼음 구멍으로 올라올 때 공격한다. 얼음 위에서 쉬고 있는 물범에게 조용히 다가가 사냥하기도 한다.

북극곰은 때때로 물범류의 이주 지역인 캐나다의 세인트로렌스 만이나 러시아의 아무르 강 어귀까지 남쪽으로 내려간다. 물범뿐 아니라 바다에서 물고기를 사냥해 먹거나 바다코끼리나 고래 사체 등을 먹기도 한다. 북극곰은 동면하지 않으며 먹이가 적은 여름철에는 순록이나 사향소 등의 육지 동물이나 새, 알, 설치류, 갑각류를 포함해 다시마 등의 해초나 각종 열매와 뿌리 등 식물까지 먹는다. 그러나 다른 먹이는 물범류와 달리 지방질이 적어 충분한 영양을 얻지 못한다. 호기심이 많은 성격이라 인간과 접촉할 경우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자동차 배터리 등 모든 쓰레기를 먹으려고 시도할 수 있다.

얼음 위에서 쉬고 있는 북극곰

ⓒ TheGreenMan/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북극곰의 몇가지 특징적인 자세들

1번은 휴식, 2번은 주위를 살피는 자세, 3번은 수유할 때의 자세다.

ⓒ Волков Владислав Петрович/Wikipedia | Public Domain

번식

번식기는 4월에서 5월 사이다. 이때 북극곰은 먹이가 많은 지역에 모여 만난다. 수컷은 번식을 위해 암컷을 쫓으며 종종 다른 수컷과 싸워 경쟁한다. 짝이 정해진 수컷과 암컷은 일주일 정도 함께 지내며 짝짓기를 한다. 임신한 암컷은 약 4개월 간 엄청난 양의 음식을 먹어 체중을 200kg 이상으로 늘린다. 임신기간은 240~270일로 겨울에 1~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암컷은 출산 전 가을에 얼음이나 눈을 파내어 보금자리를 만든다. 굴이 완성되면 그 안에 들어가 한동안 동면과 유사한 휴면 상태를 유지하다 새끼를 낳는다. 태어날 때 새끼의 몸무게는 약 1kg이며 눈을 뜨지 못한다. 어미는 2월 중순에서 4월 중순까지 보금자리에 머무르며 새끼들에게 젖을 먹인다. 새끼가 10~15kg 정도가 되면 굴 앞으로 잠시 나가 걷고 노는 것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새끼들이 어느 정도 걸을 수 있게 되면 해빙 지역으로 나가 사냥을 시작한다. 이때까지 암컷은 길게는 8개월까지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

눈 위에서 장난치는 북극곰 어미와 새끼

ⓒ Lamberrt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동 중인 북극곰 어미와 새끼들

ⓒ Himanshu Saraf/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어린 북극곰은 출생 후 10개월에서 2년가량 어미와 같이 지낸다. 이때 대부분의 사냥 방식을 배우고 모방한다. 어미가 떠난 뒤에는 형제 자매가 몇 주나 몇 달 동안 함께 여행하며 사냥하고 먹을 것을 나누는 경우가 많다. 암컷은 4년, 수컷은 6년 정도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그러나 수컷은 경쟁이 심해 8~10세 정도가 돼야 번식할 수 있다. 평균 수명은 25세 정도다.

분포

북극권과 인접한 육지에 분포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린란드(덴마크)와 스발바르(노르웨이), 시베리아 북부(러시아), 베링 해(러시아, 미국), 알래스카(미국), 뉴펀들랜드(캐나다) 등이다. 덴마크와 노르웨이, 러시아, 미국, 캐나다 5개국은 1973년 〈북극곰 보존에 관한 협약〉각주1) 을 체결하고 북극곰의 보존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멸종위기등급

북극곰은 기후변화를 상징하는 멸종위기동물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빙하가 녹으면서 북극곰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기 때문이다. 2015년 기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레드리스트에 따른 북극곰의 멸종위기단계는 ‘위기(EN, Endangered)’다. 위기(EN)는 ‘야생에서 매우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한 상태’다. IUCN은 취약(VU), 위기(EN), 위급(CR)의 세 분류를 ‘멸종 우려’로 분류하고 있다.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에서 발견된 굶주린 북극곰

지구온난화로 인해 섬 주변의 얼음이 전보다 빨리 녹으면서 먹이를 찾지 못해 굶주려있다.

ⓒ Andreas Weith/Wikipedia | CC BY-SA

북극곰의 가장 큰 멸종 위협 요소는 기후변화로 인한 북극 해빙의 손실이다. 빙하가 녹으면서 먹이를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빨리 녹으면 북극곰은 먹이가 없는 여름철을 생존할 만큼 충분히 먹지 못한 상태에서 육지로 올라가야만 한다. 눈이나 얼음에 구멍을 만들어 새끼를 키우는 암컷들은 이전보다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며 굶주릴 가능성도 증가했다. 기온이 올라가면서 질병 위험이 커진 것도 북극곰의 생존을 위협한다.

북극 지역의 석유 개발과 해운 증가도 북극곰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장 큰 위험은 기름 유출의 가능성이다. 한번 유출된 기름은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북극 생태계를 광범위하게 파괴할 수 있다. 바지선과 유조선, 화물선 등 해운의 증가도 마찬가지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아직도 북극곰 사냥이 불법적으로 자행돼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130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북극곰
다른 백과사전

곰과

추천항목


[Daum백과] 북극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