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빌로니아 Babylonia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정치질서는 아모리인과 엘람인의 침입으로 인해 완전히 파괴되었다. 수메르인의 도시국가들이 남아 있긴 했으나 그 세력은 몹시 쇠약해 있었다. 그 후 유프라테스 강가의 마리(Mari)나, 티그리스 강가의 아쉬르 같은 도시들이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어 메소포타미아 세력의 중심은 북쪽으로 옮...
    도서 이야기세계사1 | 태그 세계사
  • 바빌로니아 Babylonia, バビロニア
    옛 나라 정보이라크의 역사 바빌로니아는 메소포타미아 남쪽의 고대 왕국으로, 이전 시대의 수메르 지방과 아카드 지방을 아우르며,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 메소포타미아 남동쪽의 지명이다. '바빌로니아'라는 이름은 수도였던 바빌론(Babylon)에서 유래하였다. 한글 서는 바빌론, 바벨론 등으로 음역하고 있다...
    도서 위키백과
  • 바빌로니아 Babylonia
    바빌로니아는 BC 4000년경부터 바빌론 지역에서 발달한 문화를 총칭하는 말이다. 수메르인은 최초의 문자체계인 설형문자를 만들었고 가장 오래된 법전을 편찬했으며 도시국가를 발전시켰다. 또한 화로·범선·쟁기를 발명하고 문학·음악·건축 양식을 창안했다. 바빌로니아를 가장 거대한 제국으로 만든 왕은 제1왕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Babylonia 바빌로니아, バビロニア
    Babylonia was an ancient Akkadian-speaking Semitic state and cultural region based in central-southern Mesopotamia (present-day Iraq). A small Amorite-ruled state emerged in 1894 BC, which contained at this time the minor city of Babylon. Babylon greatly expanded during the reign of Hammurabi in ...
  •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수학
    사용하는 10진법은 주로 고대 이집트와 중국에서 발전되었는데, 중국의 10진법은 기원전 10세기 이전부터 사용되었다. 이와 달리 수메르 문화를 이어받은 바빌로니아에서는 60진법을 사용했는데, 60이 10보다 약수가 많아서 나눗셈에 편리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10의 약수는 2와 5뿐이다. 그러나 60의 약수는 2, 3, 4...
  • 플림프톤322, 바빌로니아 점토판 점토판에 남아있는 수
    많은 수학자들이 그 숫자들을 연구한 끝에, 그것이 피타고라스 3쌍 중 앞의 두 자리에 해당하는 숫자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YBC 7289라는 이름의 바빌로니아 점토판이 점토판에 새겨진 수는 1.24:51:10인데 이 60진법의 수를 10진법 수로 바꾸면 1.41421297이 되지요. 한편 는 약 1.4142136으로 소수점 아래...
    연대 :
    기원전 1,800년 경
  • 바빌로니아의 수 체계에는 어떤 문제점들이 있었을까?
    바빌로니아 수 체계에서는 1과 10을 나타내는 2개의 숫자기호만 사용했는데, 1~59까지의 수는 이 두 기호를 각각 필요한 만큼 반복해서 쓰는 방식으로 표기했다. 예컨대 18과 50은 아래와 같이 나타냈다. 또 59를 넘어선 숫자도 같은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했는데 예를 들어, 69와 75는 아래와 같이 나타냈다. 그러나...
  •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아시리아와 신바빌로니아 시대
    원래 주민들이 있던 곳에는 다른 나라의 주민을 이주시켰다. 이러한 정책은 메소포타미아와 근동의 다른 지역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 틀림없다. BC 626년 신바빌로니아 왕국을 건설한 아람인의 한 부족 칼데아인이 융성하자 아시리아는 몰락하기 시작했다. BC 612년 바빌로니아의 나보폴라사르와 메디아의 키악사레스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바빌로니아 New Babylonia
    바빌론을 중심으로 한 합동공격으로 아시리아의 니네베를 파멸시킨 후인 기원전 612년에 바빌론의 나보폴라사르는 새로운 바빌로니아 왕국을 건설하였다. 이 왕국은 과거에 찬란했던 바빌로니아 왕국의 계승자임을 자처하였다. 이 신바빌로니아는 기원전 605년에 카르케미시에서 이집트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며...
    도서 이야기세계사1 | 태그 세계사
  • 네부카드네자르 2세 Nebuchadnezzar II
    칼데아 왕조의 왕 중 가장 위대한 왕으로 뛰어난 군대를 거느렸으며, 수도 바빌론을 화려하게 꾸미고 역사상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유명하다. 신바빌로니아 제국을 세운 나보폴라사르의 큰아들이자 후계자였는데 그에 대한 이야기는 설형문자 비문과 성서, 유대의 자료와 고전 작가의 글에 나온다. 그의 이름은...
    출생 :
    BC 630경
    사망 :
    562
    국적 :
    바빌로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고대
  • 도량형 度量衡, systems of weights and measures
    도량형은 근대에 이르러 온도·광도·압력·전류 등도 포함하게 되었지만 예전에는 질량(무게)·부피·거리·면적의 4가지 기본 양만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도량형학, 측정). 도량형 개념의 기본이 되는 것은 균일성(uniformity)·단위(unit)·표준(standard)의 개념이다. 균일성이란 어떤 도량형 체계에서나 본질적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 일반
  • 화투 그림과 도박 공화국 조영남 ‘극동에서 전해져 온 꽃다발’과 보르헤스 ‘바빌로니아의 ..
    실제로 도박 산업에서 확보한 기금이 각종 복지 기금, 주택 기금, 문화예술 증진 기금, 청소년 육성 기금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보르헤스의 〈바빌로니아의 복권〉 더 큰 문제는 도박이나 사행성 산업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투기의 천국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부동산 투기나 투기성 증권 투자가 한국 사회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바빌로니아 숫자
신 바빌로니아 석비
{▲ 바빌로니아의 점토판 지도}
인도와 바빌로니아에서의 0의 표현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 남쪽에 있는 바빌로니아 유적지
프톨레마이오스가 쓴 고대 그리스와 바빌로니아의 천문학 이론서 《알마게스트》
고대 바빌로니아의 수학 문제집.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유물이다.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의 수도 바빌론을 상징하는 이슈타르 문 상상도
아시리아의 영토와 아시리아를 멸망시키고 들어선 신바빌로니아의 영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