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어사전에도 없는 정보는 어딨을까요?한 일 등을 알고 싶으면 인물사전, 역사사전 등을 찾으면 돼요. 백과사전에서 원하는 정보 찾기 원하는 내용을 찾으려면 우선, 사전의 종류부터 결정해요. 여러 권으로 된 백과사전의 경우, 주제나 분야에 따라 알맞은 권을 선택해야겠지요. 그러고 나서 본격적으로 필요한 내용이 담긴 쪽을 찾아봐요. 어떻게 하면...
- 분야 :
- 읽기
- 교과단원 :
- 초등 4학년 1학기 〈소중한 정보〉, 초등 4학년 1학기 〈국어사전과 함께〉
-
-
백과사전의 구성의 변화분류했다. '자연계'에서는 천문학·기상학·지리 및 광물·동물·식물 등의 종류에 관해서 다루었고, '인간'에서는 해부학, 생리학, 사회구조와 권력, 활동 등을...교통, 인쇄, 농업, 향해, 산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그는 백과사전 편찬자가 인간의 지식영역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인간의 생각과...
-
유서 類書산물인 백과사전과는 여러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원 유서라는 명칭이 정확하게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문헌상으로는 송나라 인종(仁宗) 때 편찬된 두 서목 『숭문총목(崇文總目)』과 『신당서(新唐書)』 예문지(藝文志)의 병부(丙部)에 유서류를 분류법상의 일문(一門)으로 독립 설정...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교육과정 敎育課程경험을 사전에 선정 조직한 것이다. 이는 학교요람이나 수업시간표에 잘 드러난다. 오늘날은 정태적인 교과목이나 교수학습계획을 넘어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계획-실행-성과 평가 및 개선에 이르는 ‘교육의 과정(過程)’으로 의미가 확장되기도 한다. 교육과정에서 계획-실행-성과 중 어느 한 면을 강조하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세시풍속 세시(歲時), 歲時風俗개설 세시풍속은 대체로 농경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농경의례라고도 한다. 여기에는 명절, 24절후(節侯)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에 따른 의례와 놀이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농경을 주 생업으로 하던 전통사회에서는 놀이도 오락성이 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풍농을 예축하거나 기원하는 의례였다. 그래서 세시풍속...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종교 宗敎기축(祈祝) · 독경(讀經)을 업으로 삼는 소경의 등장이다. 이들 소경들은 각자 맡은 소임이 달랐는데, 이들을 분류하면 매복 · 명과(命課) · 독경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명과맹인(命課盲人)의 경우에는 삭발을 한 도불잡유적 맹승(盲僧)이 있었는데, 이들은 선사(禪師)라고도 불리며 사회적 지위도 아주...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독도 독섬, 獨島퇴적 작용, 바람의 작용, 염분의 비말에 의한 풍화작용 그리고 매스무브먼트에 의해 현재의 다양한 지형들이 형성되었다. 또한 기반암 특성, 즉 기반암 종류와 분포, 절리 밀도, 수평층리의 특성, 지층 경사, 단층선과 절리의 분포 특성, 사면 경사 등도 독도의 지형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독도의 지형 발달은 화산...
- 유형 :
- 지명/지명
- 면적 :
- 면적: 총면적 187,554㎡, 동도 73,297㎡, 서도 88,740㎡, 부속도서 25,517㎡, 높이: 동도 98.6m, 서도 168.5m, 둘레: 총둘레 5.4㎞, 동도 2.8㎞, 서도 2.6㎞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높이 :
- 동도 98.6m, 서도 168.5m
-
씨름많은 용사나 역사 중에서 뛰어난 인물들은 윗사람에게 발탁되거나 또는 무과를 통하여 출세의 길을 달렸을 것이다. [3. 구경꾼] 씨름뿐만 아니라 어떠한 종류의 경기도 승부를 겨루는 모습을 보기 위하여 구경꾼들이 모여야 그 경기는 볼만해지고 경기하는 선수들도 신명이 나서 자기 실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게 된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