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노인에게 안정적인 소득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생활 안정을 지원하고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제도. 65세 이상의 전체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적은 70%의 노인에게 매달 일정액의 연금을 지급한다. 정부가 매년 1월 선정기준액을 발표하면, 근로소득에서 기본 84만 원을 공제한 후 이에 30%를 더 공제한 금액에 기타 소득을 더한 소득인정액을 산출하여 이것이 선정기준액 이하면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다. 신청할 때에는 가까운 읍·면사무소나 동 주민센터 등에서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다.
목차
접기대상자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으로 한국국적을 가지고 국내에 거주하는 노인 중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이들에게 지급된다. 소득인정액은 노인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합산한 금액을 뜻하며, 이 금액이 해당 연도 선정기준액의 이하이면 기초연금 지급 대상자에 포함된다.
정부는 매년 1월 선정기준액을 발표하는데, '선정기준액'은 노인의 소득하위 70%를 선정하는 기준을 뜻한다. 노인 소득재산 분포와 임금·지가·물가상승률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설정한다.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수급권자 및 그 배우자는 원칙적으로 기초연금 수급대상에서 제외된다.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 선정기준액 확인하기
소득인정액 산출 방법
기초연금의 지급 기준이 되는 소득인정액이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보유재산으로 발생하는 소득 등 모든 종류의 소득을 합산한 금액이다. 다만 일하는 노인들을 장려하기 위해 근로소득에는 별도의 공제를 반영한다.
근로소득에서 기본 84만 원을 공제한 다음 이에 30%를 더 공제한 금액에 기타 소득을 더하면 소득인정액이 나온다. 사업소득,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 무료 임차 소득 각주1) 등이 기타 소득이며 이는 공제하지 않고 그대로 반영한다.
재산을 월별 소득으로 환산할 때도 최소한의 주거 유지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금액은 공제하고 계산한다. 대도시는 1억 3500만원, 중소도시는 8500만 원, 농어촌은 7250만원이다. 금융 재산도 2000만원을 공제하고 부채만큼 빼고 계산한다. 반면 고급 자동차 (3000cc 이상 또는 4000만원 이상)나 골프장 회원권 등을 가지고 있다면 공제없이 해당 가액을 더한다.
기초연금은 원칙적으로 자녀 등 부양의무자의 소득·재산은 조사하지 않고 본인 및 배우자의 소득·재산만 조사하여 수급 자격을 결정한다. 다만 본인 또는 배우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주택이 자녀 명의이고 시가표준액 6억원 이상인 경우 무료 임차 소득으로 적용해 본인의 소득 인정액에 포함한다.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 소득 인정액 모의계산
신청 방법
기초노령연금 수령 대상자들은 주소지 관할 읍ㆍ면사무소 및 동 주민센터 또는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및 상담센터에서 신청하면 된다. 복지포탈 '복지로'를 통한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다. 신청이 접수되면 시, 군, 구청에서 소득재산을 조사하고 대상자 여부를 결정해 통보한다.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지급하고, 수급자 선정이 지연되더라도 신청일이 속한 달을 기준으로 소급하여 지급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서울경제, 기초연금판 모럴해저드, 2016년 1월 6일 http://economy.hankooki.com/lpage/opinion/201601/e2016010620281371130.htm
- ・ 연합뉴스, 기초연금 정부안논란에서 국회통과까지, 2014년 5월 2일
-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5/02/0200000000AKR20140502160000017.HTML
- ・ 보건복지부, 2016기초연금사업안내, 2016년 1월
- ・ 기초연금제도의 쟁점과 과제, 윤성주, 한국조세재정연구원
- ・ 기초연금 도입 논의와 향후 과제, 원시연, 국회입법조사처, 2013년 12월
- ・ 복지로, 한눈에 보는 복지정보-기초연금, 보건복지부 복지포털
- ・ http://www.bokjiro.go.kr/welInfo/retrieveGvmtWelInfo.do?welInfSno=35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