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방전례교회의 조직개요 동방전례교회의 수위(首位)는 교황이다(→ 교황제). 그들을 위한 교황청의 중심 조직은 '동방교회성성'(Congregation for the Eastern Churches)이다. 이 성성의 장관은 교황이며 장관 보좌 추기경이 장(長)으로서 일상적 업무를 수행한다. 성성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동방교회의 모든 문제를 관할하며, 동...
-
동방전례교회의 전례동방 가톨릭 집단을 형성하고 있음) 교회와 시리아·말란카라(인도) 교회가 있다. 칼데아 전례는 안티오키아 전례에서 나왔지만, 동방교회 성성에서 별도의 전례로 분류됐다. 그 분파는 칼데아(네스토리우스파에서 나옴), 시리아-말라바르 교회(인도의 성 토마 그리스도교의 후예)이다. 고전 아르메니아 의식어를 사용...
-
동방전례교회와 다른 교회들과의 관계전통에 대한 배신을 뜻한다. 물론 동방전례교회는 부정적 의미를 가진 '귀일'교회보다는 연합교회로 여겨지기를 원할 것이다. 동방전례교회들은 로마 가톨릭 전통이 복합되어 있음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여러 동방 전례의 허용은 로마 가톨릭 교회법에서 볼 때는 하나의 양보이다. 왜냐하면 전례는 예배 이상의 것을...
-
동방전례교회의 역사Litovsk Union)에서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주교 2명을 제외한 모든 주교가 폴란드 가톨릭 왕의 요구에 순응하여 교황의 수위권을 받아들였는데, 이는 동방전례교회가 효과적으로 출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 이전 몇 세기 동안에는 다른 소수의 집단들이 로마 교회와 연합했지만, 이때 로마 교회와 연합한 우크라이나...
-
-
-
가톨릭 교회의 전례 로마 가톨릭교의 전례신약성서〉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초기부터 전례의 중심적 행위는 성찬례, 즉 예수 그리스도의 최후만찬을 기념하는 예식이었다. 이것은 전례기도의 구조로...전례제도가 발전되었는데, 그 가운데 많은 제도가 동방교회의 전례 속에 남아 있다. 11세기에 전례는 고전적인 형식을 갖추게 되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
동방정교회 교회조직몇 가지 요인들(예를 들면 전례에서 모국어 사용)로 인해 오늘날 정교회 안에서 민족주의가 대두했다. 그 결과 민족 문화와 종교의 일체화도 나타나게 되었다...강조했기 때문에 성직주의(clericalism)가 발달하지 못했다. 평신도를 주교 선출에 참여하게 했던 초기 교회의 관행은 동방 교회에서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