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방전례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 東方典禮敎會
    동방에 있는 고대의 여러 민족적 또는 인종적 그리스도교 교회에 기원을 둔 동방교회 가운데 하나. 동방 가톨릭 교회라고도 함.|로마 교황청과 연합(union)하거나(동방전례교회는 과거에 Uniates라고 불렸음) 교회법을 공동으로 하여 결국 로마 가톨릭 교회와 연합했다. 이 과정 속에서 로마 가톨릭 신앙을 받아들이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동방전례교회의 조직
    개요 동방전례교회의 수위(首位)는 교황이다(→ 교황제). 그들을 위한 교황청의 중심 조직은 '동방교회성성'(Congregation for the Eastern Churches)이다. 이 성성의 장관은 교황이며 장관 보좌 추기경이 장(長)으로서 일상적 업무를 수행한다. 성성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동방교회의 모든 문제를 관할하며, 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동방전례교회전례
    동방 가톨릭 집단을 형성하고 있음) 교회와 시리아·말란카라(인도) 교회가 있다. 칼데아 전례는 안티오키아 전례에서 나왔지만, 동방교회 성성에서 별도의 전례로 분류됐다. 그 분파는 칼데아(네스토리우스파에서 나옴), 시리아-말라바르 교회(인도의 성 토마 그리스도교의 후예)이다. 고전 아르메니아 의식어를 사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동방전례교회와 다른 교회들과의 관계
    전통에 대한 배신을 뜻한다. 물론 동방전례교회는 부정적 의미를 가진 '귀일'교회보다는 연합교회로 여겨지기를 원할 것이다. 동방전례교회들은 로마 가톨릭 전통이 복합되어 있음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여러 동방 전례의 허용은 로마 가톨릭 교회법에서 볼 때는 하나의 양보이다. 왜냐하면 전례는 예배 이상의 것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동방전례교회의 역사
    Litovsk Union)에서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주교 2명을 제외한 모든 주교가 폴란드 가톨릭 왕의 요구에 순응하여 교황의 수위권을 받아들였는데, 이는 동방전례교회가 효과적으로 출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 이전 몇 세기 동안에는 다른 소수의 집단들이 로마 교회와 연합했지만, 이때 로마 교회와 연합한 우크라이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동방정교회 東方正敎會, Eastern Orthodoxy
    동방정교회는 서방(로마 가톨릭)교회의 상대적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동방정교회가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갈라진 것은 예부터 이어져온 로마 동·서방의 언어·문화·정치적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동방 교회는 지역의 '독립'적인 교회들의 협의체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상징적인 칭호와 명예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동방정교회의 전례
    개인적인 경험도 공동체의 연속적인 예배 행동이라는 틀 안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 권위있는 많은 학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동방 교회전례가 서방 교회전례보다 그리스도교 교회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친 이유들 가운데 하나는 동방 교회전례가 항상 인간의 정서적·지적·미학적 능력에 동시에 호소하는 총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가톨릭 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 Catholic Church
    중 어느 한 종파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그 종파와 가톨릭 교회의 관계를 고찰해보아야 한다. 그 예로 동방정교회와 가톨릭 교회는 왜 분열되었는가, 영국 성공회와 가톨릭 교회의 분열은 불가피했는가 등을 들 수 있다. 반대로 이러한 질문은 가톨릭 교회 자체를 정의하기 위해서도 필요하고, 가톨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천주교
  • 성찬예배 Divine Liturgy, 聖体礼儀
    성찬예배(聖餐禮拜, llang)는 일반적으로 비잔티움 전통 계열 기독교의 성찬 전례를 일컫는 용어이다.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교회에서는 자신들의 성찬 전례를 성찬예배라고 칭하고 있다. 아르메니아 그리스도교의 두 축을 이루는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와 아르메니아 가톨릭교회 역시 성찬예배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도서 위키백과
  • 가톨릭 교회전례 로마 가톨릭교의 전례
    신약성서〉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초기부터 전례의 중심적 행위는 성찬례, 즉 예수 그리스도의 최후만찬을 기념하는 예식이었다. 이것은 전례기도의 구조로...전례제도가 발전되었는데, 그 가운데 많은 제도가 동방교회전례 속에 남아 있다. 11세기에 전례는 고전적인 형식을 갖추게 되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동방정교회 교회조직
    몇 가지 요인들(예를 들면 전례에서 모국어 사용)로 인해 오늘날 정교회 안에서 민족주의가 대두했다. 그 결과 민족 문화와 종교의 일체화도 나타나게 되었다...강조했기 때문에 성직주의(clericalism)가 발달하지 못했다. 평신도를 주교 선출에 참여하게 했던 초기 교회의 관행은 동방 교회에서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동방전례 東方典禮, eastern liturgy
    영성체를 비롯하여 성무일과와 같은 의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그 초기의 상태는 분명치 않으나 4세기에 들어와서부터 발전의 윤곽이 뚜렷해진다. 동방교회전례 통일의 노력에 의해 소도시의 사제들은 거의 강제되는 일이 없이 알렉산드리아나 안티오키아 등 대교회의 여러 관례를 자진하여 채택했는데, 그것은 동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