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방전례교회의 역사서방, 즉 라틴 가톨릭 교회가 AD 1세기부터 계속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반면, 동방 가톨릭 교회는 대체로 1439년 교회 당국이 동방·서방 그리스도교를 연합하려다 실패한 페라라-피렌체 공의회에 역사적 기원을 두고 있다. 공의회의 연합 노력은 실패했지만 동방·서방 그리스도교의 재연합을 궁극적 목표로 주장하는 ...
-
동방전례교회의 조직동유럽과 중동의 몇 개국에 대한 독자적 배심권을 갖는다. 개개의 동방교회는 자신들의 역사적·인종적 상황과 신자수, 발전 정도 등에 따라 조직이 다른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총대주교구(patriarchate) 총대주교의 관할 아래 단일한 전례를 지키는 일정한 수의 주교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대주교는 동방교회...
-
-
-
동방정교회의 성격과 의의개요 동방정교회는 처음 7차례 열린 세계 공의회에서 정의된 신조와 관행을 따르는 그리스도교도들의 큰 단체이다. 동방정교회의 전례 문서 혹은 교회법 문서에서 사용되는 공식적인 명칭은 '정통 가톨릭 교회'(Orthodox Catholic Church)이다. 문화적 배경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의 분열(1054)은 AD 1세기에 시작되어...
-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 Hierarchy of the Catholic C..등의 직무를 가지며, 관하 교구의 주교가 교회법적으로 내린 판결의 상소 법원 역할을 하기도 한다. 역사적이거나 혹은 다른 이유로, 일부 대교구는 관구에 속해...주교들과 같은 권한만을 가진다. 모두 619개의 대주교좌 중 78개의 대주교좌가 이러한 형태를 띠고 있다. 동방 전례에서 서방 전례의 관구장에 해당하는...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 Armenian Catholic Church받아들인 최초의 민족이었다. 칼케돈 공의회(451) 이후 약 50년이 지난 뒤 아르메니아인들은 이 공의회의 그리스도론 결정을 반박하고, 근본적으로 동방정교회의 교리적 신념들을 지지하는 아르메니아 사도(정)교회의 교도가 되었다. 그러나 12세기 초엽 아르메니아인들 중 일부 가톨릭교도들은 이슬람교 압제자들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