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방전례교회와 다른 교회들과의 관계동방 가톨릭 교회는 본질적으로 보다 많은 수의 비잔틴 정교회들과 동방 독립 교회(Eastern independent churches), 즉 칼케돈 공의회(451)의 교령을 받아들이지 않는 동양교회들(Oriental churches)과 비슷하다. 이와같이 보다 큰 맥락에서 보면 동방 가톨릭 교회들은 동방 그리스도교 안의 최소 분파로 여겨진다. 더욱...
-
-
동방전례교회의 역사이는 동방전례교회가 효과적으로 출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 이전 몇 세기 동안에는 다른 소수의 집단들이 로마 교회와 연합했지만, 이때 로마 교회와 연합한 우크라이나 정교회가 동방 가톨릭 교회의 최대 분파가 되었다. 이 사건이 있기 전 동방 가톨릭 교회는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의 이탈리아계 알바니아...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아르메니아 정교회, Armenian Apostolic C..성서, 전례, 기본적인 제도상의 용어를 제공해준 시리아 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발전했지만, 카파도키아의 카이사리아에 있는 모교회로부터 독립하기로 결정했다. 아르메니아 교회가 시리아 문자를 빌려 써 온 것을 중단한 것은 성 메스로프가 아르메니아 문자를 만들고 수차례에 걸쳐 성서를 아르메니아어로 번역해...
-
근세기의 로마 가톨릭 교회세계와의 관계에서 본질적으로 방어적 태도를 취할 것이라고 결론짓고 있었다. 그러나 교황 요한 23세(1958~63 재위)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는 이러한 결론을 수정하게 만들었다. 교황 요한은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몇 건의 중요한 회칙을 공포했다. 그중 특별히 관심을 끄는 것은 1961년에 반포한 회칙 '어머니...
-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 Hierarchy of the Catholic C..경우에는 다른 교구에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를 통해 교구 소속의 사제를 타 교구로 파견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모두 받은 신자로 4년 이상 대신학교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 서방 전례 교회에서는 사제품 서품을 받은 사람은 주교, 사제, 부제에 관계없이 반드시 독신의...도서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