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교회법
오늘날 정교회 조직의 항구적인 기준은 〈신약성서〉 이외에 처음 7차례 열린 세계 공의회의 교령들(법규과 교령), 모든 교회가 그 권위를 인정한 몇몇 지방 공의회의 교령, 이른바 '사도 규준', '교부들의 규준'(교회법상 중요한, 탁월한 교회 지도자들의 발췌선집들)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사도교회법).
주교직(주교제도)
정교회에서는 교회를 여러 규준들 및 초기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증언된 원리에 입각해 있다고 본다.
현대의 정교회 신학은 주교직이 성직 중에서 으뜸이며, 따라서 주교 자신이 관할하는 공동체(교구)에서 주교보다 더 높은 권위가 하느님에 의해 제정된 바 없다는 점도 강조한다. 그러나 지역 교회나 주교는 따로 고립된 채 살아갈 수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 각각의 지역 공동체 생활은 현재와 과거에 다른 지역 교회들이 누려왔던 교회 생활과 같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동일성과 연속성은 주교 서품 의식에서 표현된다.
주교는 신앙의 보호자이며, 공동체의 성사를 집행하는 중심이다.
정교회는 사도전승 즉, 주교의 사목이 예수의 제자들의 사목과 직접적인 연속성을 가져야 한다는 교리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연속성은 기능의 연속성이라기보다는 신앙의 연속성이다.
어떤 주교도 그의 동료들과 일치를 이루지 않고서는 즉, 주교공의회('주교회의')의 일원이 아니고서는 주교로 임명될 수도 자신의 소임을 다할 수도 없다(시노드). 니케아 공의회(325, 이 공의회에서 결정된 법령들은 오늘날까지도 정교회에서 유효함) 이후, 로마 제국의 각 지역은 새로운 주교를 임명하는 완전히 독립된 단위였으며, 교회법상 최고 법정인 그 지방 고유의 주교회의를 가지고 있었다.
현대 정교회에서 이 기능은 각 독립 교회의 주교회 의장이 맡았으며, 일반적으로 '수도대주교'(metropolitan)라고 불렀다. 오늘날 이 기능은 '총대주교'(patriarch)라고 불리기도 하는 지방 수석대주교(local primate)가 수행한다.
그는 또한 대주교(archbishop:혹은 metropolitan)로 불리기도 하며 이 칭호는 영예로운 것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독립 교회 주교회의의 관할 지역은 국경선과 일치하며(중동 지역에는 예외가 많음), 서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등지에 흩어져 있는 외국 정교회들은(디아스포라) 보통 모교회(母敎會)에 소속되며 그 주교회의의 지배를 받는다. 이 디아스포라들은 모교회의 권위 아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체제로 인해 정교회의 관할권이 교회법과 무관하게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는 모두 인종적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중세기에서 유래한 몇 가지 요인들(예를 들면 전례에서 모국어 사용)로 인해 오늘날 정교회 안에서 민족주의가 대두했다. 그 결과 민족 문화와 종교의 일체화도 나타나게 되었다. 민족 문화와 종교의 일체화는 정치적 조건이 어려운 상황에서 교회의 생존을 돕는 때도 있었으나, 선교의 확장을 방해하고 교인들의 그리스도교적 일체감을 가로막기도 했다.
성직자와 평신도
정교회에서는 교회 생활의 기본 원칙으로서 영성체와 친교를 강조했기 때문에 성직주의(clericalism)가 발달하지 못했다.
평신도를 주교 선출에 참여하게 했던 초기 교회의 관행은 동방 교회에서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하위직 성직자들, 예컨대 사제들과 보제(補祭)들은 일반적으로 결혼한 남자이다(수도회). 정교회의 현대 교회법은 한번만 결혼하고 배우자가 과부나 이혼녀가 아닐 것을 전제로 결혼한 남자에게 보제직 및 사제직 임명을 허용하고 있다.
이 규정은 절대적 일부일처제의 일반 원칙을 반영하는 것이고 정교회는 이 일반원칙을 사제직 지원자들이 엄격하게 준수해야 할 그리스도교적 규범으로 간주하고 있다. 보제와 사제는 서품을 받은 후에는 결혼할 수 없다(독신).
주교들은 결혼하지 않은 성직자들이나 홀아비가 된 사제들 가운데서 선출된다.
결혼하지 않은 주교를 요구하는 규칙은 수사들이 성직 사회의 엘리트를 대표했던 6세기에 제정되었다. 오늘날 정교회에서는 수사의 수효가 줄었기 때문에 일부 지역 교회에서는 새로운 주교 후보자를 찾기 어렵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 정교회의 평신도들은 최소한 부분적이나마 주교 선출에 참여하도록 허용되는 것 이외에도 교회 행정과 신학 교육에서 일익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스에서는 거의 모든 직업 신학자들이 평신도들이고 평신도들이 설교자로 활동하는 경우도 많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동방정교회 교회조직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