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동조합의 내부조직조합의 목적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고용조건을 유지·개선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질서있는 조직을 갖추어야 하며, 조합의 의사결정기구와 더불어 그 결정된 의사를 실현하는 집행기구가 필요하다. 노동조합이 노동자들의 자주적 대중단체인 한, 그 의사결정은 민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
-
-
노동조합의 경영참여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렇게 하여 조합은 이전처럼 경영 밖의 조직으로서 단지 경영에 대립하는 투쟁체로만 머무를 수는 없게 되었다. 정치·행정...그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고, 사회에 대해서도 경영자와 함께 책임을 다하며, 경영 내부에 뛰어들어 경영 성과의 배분과정에서도 균등한 혜택을 받아야...
-
노동조합 노조, 勞動組合관계와 한국전쟁 등의 영향으로 노동조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사회 전반에 존재하였다. 1960년 4월 자유당 정권의 붕괴와 더불어 노동조합의 조직이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노동조합 내부의 민주화를 추진하기 위한 움직임이 세차게 전개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그 해 11월에 대한노총과 전국노동조합협의회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전국은행노동조합연합회 은행연합회, 全國銀行勞動組合聯合會결성되었고, 충남지구는 노조결성준비위원회가 가동되는 등 전국적으로 조합결성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4·19혁명 이후 결성된 노동조합들은 4·19혁명의 성과를 이어받아 조직 내부에서 자주성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는 주로 정치권과의 단절과 중립을 노동조합 결의문이나 강령을 통해 드러난다. 전국...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60년 7월 23일
- 성격 :
- 노동조합
- 유형 :
- 단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 大韓勞動組合總 聯合會했다. 1948년 정부수립으로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가 소멸되자 합법적으로 노동운동을 주도하게 되었다. 그러나 조합 내부의 분열과 6·25전쟁으로 활동이 중지...1953년 노동조합법을 비롯한 노동3법이 제정·공포됨에 따라 1954년 4월 8일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약칭 대한노총)로 개칭하고 종래의 기구를 개편·재조직
-
영국운수일반노동조합 英國運輸一般勞動組合, Transport an..TGWU와 같은 일반 노동조합은 직능별 노동조합이나 산업별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못하는 노동자들을 위해 일했다. TGWU에서는 집행권력이 집중되어 있으며 조합 단위는 산업별 조직과 지역별 조직으로 나뉘어 있다. 상당한 정도의 내부 민주주의, 안정을 특징으로 하며 영국의 노동조합 정책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쳐왔다...
-
-
노동운동 勞動運動수립 후에는 유일한 합법노조로 인정을 받아 1949년 6월에는 683개의 단위노동조합, 12만8018명의 조합원을 가지게 되었으나, 이들 중 단체협약을 체결한 노동...국영기업체 관리인 및 정부관료들과 투쟁해야 하였고, 지도부 내부의 주도권을 둘러싼 파벌싸움을 종식시켜야 했다. 대한노총의 산하단체인 철도연맹...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 Sōhyō, 日本労働組合総評議会총평 내부 좌우대립은 깊어져갔다. 1952년 12월 전국섬유산업노동조합동맹(전섬동맹), 해원조합, 전국영화연극노동조합(전영연), 일본방송노동조합(일방노) 4개 단산이 총평의 정치투쟁 중시 지도를 비판하는 「총평비판―민주적노동조합의 입장에 서서」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 우파계 노조들과 지도부의 불화가...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