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노동조합의 내부조직

다른 표기 언어

조합의 목적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고용조건을 유지·개선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질서있는 조직을 갖추어야 하며, 조합의 의사결정기구와 더불어 그 결정된 의사를 실현하는 집행기구가 필요하다.

노동조합이 노동자들의 자주적 대중단체인 한, 그 의사결정은 민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조합의 민주적 의사결정은 조합원대회에서 실현된다. 조합의 규모가 작을 때에는 조합원대회에 노조원 전원이 출석하여 토의와 투표로 의사결정과정이 진행된다. 그러나 조합의 규모가 커져 총인원이 몇 만에서 몇 십만에 이를 경우 전원이 정해진 시기에 한 장소로 집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다. 또 산업의 특성에 따른 어려움도 있다. 예를 들면 공공산업 또는 연속조업을 필요로 하는 산업인 경우 조합원 전원이 동시에 직장을 떠나 조합대회에 참가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오늘날 대부분의 조합은 직장마다 또는 하부조직마다 조합원의 의사를 대표할 대의원을 선정해 그들로 구성되는 대의원대회를 의사결정기구로 삼는다.

조합원대회 또는 대의원대회가 조합의 의사결정기구라고 한다면 조합의 집행기구는 그 조합원대회에서 선출된 임원들로 구성된다. 임원단은 위원장, 즉 조합장과 부위원장, 사무장 등 이른바 조합3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위원장은 정해진 임기내에 조합의 대외적 업무를 총괄적으로 책임지고 부위원장은 위원장을 보좌하며 필요할 때에는 위원장 업무를 대행한다. 사무장은 조합의 내부통일과 조합 업무수행을 맡는다.

노동조합은 다수의 조합원들로 조직을 구성해야 하며 또 그들을 교육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각 조합마다 조직담당부서 및 교육선전부서를 설치해야 하며 또 조합비 징수와 각종 비용지불, 현금출납, 조합재산 보관 등의 업무를 담당할 총무부서를 두어야 한다.

그밖에도 조합의 여러 가지 일상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합원 이외에 다수의 사무원을 고용해 사무국을 구성하고 그들을 효율적으로 지휘·감독해야 한다. 또한 조합의 상근임원이나 사무국 직원에게 급여를 지급한다. 한편 이와 같은 조합 내 제반업무의 처리와 운영은 모두 사무장의 책임하에 이루어진다. 각부서별로는 조직부장·총무부장·교육선전부장이 있고 곳에 따라서는 조사부장이나 청년부장·여성부장 등을 임명하기도 하는데 이들은 모두 사무장 아래 소속되며 간부 조합원 중에서 선출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노동

노동 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노동조합의 내부조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