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국제노동운동

다른 표기 언어

최초의 국제적 조직으로서 제1인터내셔널(국제노동자협회)이 창립된 것은 1864년이었다. 이 협회에서 마르크스가 이론적 지도자로서 활약했다. 이 협회는 각국의 스트라이크를 지원하는 등 국제적 활동을 벌였으나 파리 코뮌의 붕괴후 내부대립으로 활동을 정지했고 1876년에는 해산되었다.

이어 1889년에는 제2인터내셔널이 창설되었다. 이것은 유럽각국의 노동자정당이 자유롭게 가맹하는 느슨한 연합체였다. 이 기구의 주된 요구는 8시간 노동제의 실현과 함께 제국주의의 식민지 정책과 전쟁에 반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독일의 사회민주당을 위시한 가맹정당들이 자국의 전쟁 정책을 지지하는 쪽으로 선회하자 제2인터내셔널은 사실상 붕괴되었다. 러시아 혁명후 레닌은 사회민주주의의 계보와는 별도로 제3인터내셔널(공산주의 인터내셔널, 또는 코민테른)을 결성했다(1919). 이것은 각국의 공산당을 지부로 하고 모스크바 본부에 지도권을 집중하는 중앙집권적인 조직인데 그후 국제적 혁명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국제노동운동은 사회민주주의계와 공산주의계의 두 갈래로 나뉘어 전개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모든 나라의 노동조합을 결집하여 세계노동조합연맹(WFTU)이 결성되었으나(1945), 마셜 플랜을 둘러싸고 내부 의견이 대립되어 분열되었다.

WFTU로부터 탈퇴했던 조합은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ICFTU)을 결성하여(1949) 반공산주의, 반세계노련의 입장을 내세워 세계노련과 첨예하게 대립했다. 그러나 반공을 제1원칙으로 하는 AFL-CIO와 서구 여러 나라 노동조합과의 사이에 대립이 생겨 AFL-CIO는 1969년 일시 ICFTU를 탈퇴했다가 1982년에 다시 복귀했다. 한편 WFTU와 ICFTU와의 사이는 점차적으로 관계를 회복하여 나갔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반핵운동과 환경 보전 운동의 열기가 높아가고 특히 유럽 청년층 사이에서 평화의 문제와 산업사회에 대한 불안감과 반발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노동

노동 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국제노동운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