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정복 백순(百順), 安鼎福
    조선후기 「치통도」, 「동사강목」, 「천학문답」 등을 저술한 학자. 실학자.|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상헌(橡軒). 제천(提川) 출신. 안신행(安信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참의 안서우(安瑞羽)이고, 아버지는 증 오위도총부부총관 안...
    시대 :
    조선
    출생 :
    1712년(숙종 38)
    사망 :
    1791년(정조 15)
    경력 :
    목천현감, 사헌부감찰, 가선대부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실학자
    대표작 :
    치통도, 도통도, 하학지남, 동사강목, 천학문답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광주(廣州)
  • 안정복 安鼎福
    우리나라의 역사를 중국사에 종속시켜 다루는 것을 반대하고 독자적인 영역으로 서술했으며, 봉건사회의 점진적인 개혁을 주장했다. 1746년 이웃 고을인 안산에 살던 이익을 만나 경세치용의 학문을 배우게 되었다. 1748년 이익이 동몽교관으로 추천했으며, 이듬해 만녕전참봉으로 첫 벼슬에 올랐다. 1751년 의영고참사,...
    출생 :
    1712(숙종 38)
    사망 :
    1791(정조 15)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안정복 安鼎福, 安鼎福
    양반 정보 안정복(安鼎福, 1712년 12월 25일~1791년 7월 20일)은 조선의 중추원 가선대부 겸 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낸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이다. 본관은 경기도 광주(廣州)이며,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영장산객(靈長山客)·우이(虞夷)...
    도서 위키백과
  • 안정복 安鼎福
    安鼎福(1712∼1791).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 충청도 제천(堤川) 출신으로 본관은 황주(黃州). 자(字)는 백순(百順). 호(號)는 순암(順庵). 호조참판(戶曹參判) 극(極)의 아들로 태어나, 이익(李瀷)에게 사사하였다. 일찍이 관직에 나아가 목천현감(木川縣監),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 헌직에서 선정을 베풀...
  • 안정복의 사상
    안정복이 살았던 18세기 조선사회는 사회경제적으로는 지주제의 모순이 심화되고 신분제가 변질되는 한편, 주자학적·중화주의적 세계관이 크게 흔들리던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그의 학문은 주자학에 뿌리를 두면서도 스승인 이익을 비롯하여 그의 문인들과의 교류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이황의...
  • 동사강목 東史綱目
    정략적인 날조라 평가하면서 왕으로 표기했는데, 폐위된 왕이라 하여 폐왕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는 16세기 사림들의 역사 서술에서 싹트기 시작한 것을 안정복이 확고하게 반영한 것으로 조선 초기의 역사인식에 반기를 든 것이다. 본편의 서술에서 사학사적 문제가 되는 몇 가지를 검토해보면 다음과 같다. 삼국시대...
    시대 :
    조선
    저작자 :
    안정복(安鼎福)
    창작/발표시기 :
    1778년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0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안정복의 역사인식
    새로운 인식경향을 낳았다. 특히 이익은 화이관에 입각한 중국 중심의 역사서술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영역으로서의 자국사를 서술할 것을 주장했다. 안정복은 〈동사강목〉·〈동사문답 東史問答〉·〈열조통기 列朝通紀〉 등의 역사서를 통해 이익의 사론을 구체화시켰다. 그는 조선의 역사를 중국사에 종속시켜 세가로...
  • 동사강목 東史綱目
    20권 20책. 필사본. 저자가 1756년(영조 32) 45세 때부터 편찬을 시작하여 3년 만에 초고를 완성하였으나 다시 초고를 수정·보완하여 1778년(정조 2)에 일단 완성을 보았다. 그때까지 우리나라의 사서에 나타난 사료수집의 불철저함이나 역사서술사의 곡필을 비판하면서 〈자치통감강목〉의 범례를 정법으로 삼아 편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천학문답 天學問答
    내용 안정복은 이벽(李檗)·권철신(權哲身)·권일신(權日身)·정약전(丁若銓)·정약종(丁若鍾)·정약용(丁若鏞) 등 당시의 남인 소장학자들이 유교적 정학(正學)을 하였으면서도 사학(邪學)인 한역서학서(漢譯西學書)를 가까이 하여 사교(邪敎)에 빠져 들어감을 안타까이 여겨, 그들의 미혹을 깨우치고자 『천학고(天學...
    시대 :
    조선
    저작자 :
    안정복
    창작/발표시기 :
    1785년
    성격 :
    종교서, 천주교비판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백리경 百里鏡
    조선 후기 실학자인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1712~91)이 27세 되던 1738년(영조 14)에 저술한 것이다. 1책. 필사본. 이는 안정복이 1757년에 저술한 〈임관정요 臨官政要〉의 친필 초고본이다. 따라서 내용을 가감한 흔적이 많고 글씨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해독이 곤란한 부분도 있다. 〈임관정요〉에 비해 훨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대록지 大麓誌
    2권 1책. 목활자본. 책 앞에는 조국인과 안정복의 서문, 지도('木川縣山川疆域之總圖')가 수록되어 있다. 건치연혁·관원·강역·면리·풍속 등 34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이 매우 상세하고 풍부하여 18세기 후반과 19세기초 목천현의 지역사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안정복은 읍지를 역사의 한 부분, 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삼한정통론 三韓正統論
    일정한 계통을 세워보려 했던 것이었다. 그에 따르면 위만조선(衛滿朝鮮)과 한사군(漢四郡)이 우리의 역사에서 제외된다. 이익의 이론은 안정복에게 발전적으로 계승되었다. 안정복은 삼한정통론을 토대로 해서 우리나라 역사기술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자고 역설했다. 이에 따라 위만조선을 우리나라의 역사에 포함...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5건

임관정요 / 안정복
임관정요 / 안정복
안정복의 글씨
이익이 안정복에게 보낸 편지
임관정요 / 안정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