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리와 공준이란?
    공리는 무모순적이어야 한다. 즉, 공리와 서로 모순된 진술을 연역해 낼 수 있으면 안 된다. 공준 또한 증명이 필요 없는 참인 명제(문장)이지만, 기하학적 도형의 성질 같은 특별한 소재를 다룬다. 따라서 공리에 비해 일반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유클리드 기하는 유클리드 공준으로 알려진 5개의 공준을 바탕으로...
  • 평행 平行, parallel
    때 두 직선은 평행하다고 말한다. 또한 두 개의 서로 다른 평면이 서로 만나지 않을 때 두 평면을 평행하다고 말한다. 평행에 관한 원리는 기원전 300년경 유클리드는 당시까지 수학의 여러 분야를 모아 ‘원론’(Elements)이라는 책을 펴내면서 실은 다섯 개의 공리 속에서 발견된다. 유클리드는 다섯 번째 공리에서...
    도서 다음백과
  • 데자르그 정리 Desargues's theorem
    가지도록 이 정리를 수정해야 한다. 퐁슬레는 이 특수한 경우에 대해 정리를 수정하기보다는 사영기하학 발전의 실마리였던 무한원점(無限遠點)을 가정하여 유클리드 공간 자체를 수정했다. 이 새로운 사영공간(무한원점을 더한 유클리드 공간)에서는 각 직선이 무한원점을 하나 더 가지며 평행선은 이 점을 공유점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 평면기하학이란? 平面幾何學, plane geometry
    평면기하학은 평면에 있는 2차원 도형들을 연구하는 기하학의 한 분과다. 대부분 수학자들은 평면기하학을 유클리드 기하학으로 정의하며, 원, 선, 다각형 같은 대상들을 다룬다. ‘면’이라는 말은 수학에서 어떻게 사용될까? 대부분 사람들은 ‘면(surface)’을 생각할 때 종종 우리가 사는 세상, 즉 걷거나 일상생활...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eratosthenes’ sieve
    지구 둘레 길이는 4만 6,250km로, 오늘날 최첨단 측량 수단으로 계산해낸 지구 둘레가 4만 79km인 것을 생각하면 정말 경이로운 일이다. 무한한 소수와 암호 유클리드가 소수의 개수는 무한하다는 증명을 한 이후 많은 사람들이 가장 큰 소수를 찾으려고 노력했고, 2016년 기준, 컴퓨터를 이용하여 발견한 가장 큰 소수...
  • 완폐성 完閉性, compactness
    개피복에 대해 다시 그 공간을 덮을 수 있는 유한개의 개집합을 뽑을 수 있다면 그 공간을 완폐하다고 정의한다. 이러한 완폐성의 위상적 개념의 정의는 유클리드 공간에 대한 하이네-보렐 정리, 즉 한 집합의 완폐성은 그 집합이 닫혀 있고 유계하다는 것과 동등하다는 정리에 의해 형성되었다. 일반적으로 위상공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 방정식의 표기
    크레모나의 제라르드는 톨레도에서 일하던 당시에 그리스와 아랍 학자들의 87개 연구를 라틴어로 번역했다. 이 중에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 유클리드의 《원론》, 알콰리즈미의 《대수학》 등이 있었다. 영국에서는 체스터의 로버트가 1145년에 알콰리즈미의 연구를 번역했고, 바스의 애들라드는 1142년에...
  • 빛에 대한 최초의 탐구
    램프와 같은 다른 빛과 상호작용을 일으킨다는 다소 궁색한 이론을 내놓기도 했다. 가장 오래된 광학에 관한 문서는 그리스의 사상가인 유클리드가 쓴 것으로, 유클리드 또한 방출(emission) 이론을 받아들였다. 수학자로도 유명했던 유클리드는 광학에 기하학을 접목하기도 하고, 원근법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 시공간 時空間, space-time
    이전에는 공간과 시간이 서로 아무런 관련도 없다고 믿어왔다. 물리공간은 평평한 3차원 연속체로 점을 움직여 배열할 수 있는 모든 모양인데 이 공간에는 유클리드 기하학을 적용할 수 있다. 그 3차원 공간은 데카르트 좌표를 써서 가장 자연스럽게 나타낼 수 있으며 직선도 손쉽게 나타낼 수 있다. 시간은 공간과 별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클리퍼드 William Kingdon Clifford
    런던의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수학교수로 지명되었다. 3년 뒤 영국 왕립학술원의 펠로로 선출되었다. 베른하르트 리만과 니콜라이 로바체프스키의 비(非)유클리드 기하학에 영향을 받아 〈물질의 공간이론에 관하여 On the Space-Theory of Matter〉(1870)를 썼다. 클리퍼드는 물질과 에너지가 공간 곡률의 서로 다른...
    출생 :
    1845. 5. 4, 잉글랜드 데번 엑서터
    사망 :
    1879. 3. 3, 포르투갈 마데이라 섬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철학가
  • 왜 데이터에 고개를 파묻는 사람이 많은가?, 데이터 data
    data(데이터)는 라틴어로 ‘사실(fact)로서 주어진다(given)’라는 뜻이다. 이것은 유클리드(Euclid, B.C.330~B.C.275)가 쓴 고전의 제목이기도 한데, 그 책에서 유클리드는 기하학을 설명할 때 알려진 것 혹은 알려졌다고 증명할 수 있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오늘날 데이터는 기록되거나 분석되거나 재정리할 수 있는...
  • 패키지 package
    ②에이다(Ada)에서 자료 추상화(abstraction)를 위한 기능으로 변수들의 선언과 관련된 부차적 프로그램 집합. 넣어진 자료형을 설명하는 형 선언들을 포함한다. 모듈러와 유클리드에서는 cluster, 시뮬라에서는 class 등이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에이다(Ada).모듈라(MODULA).유클리드(EUCLID).시뮬라(SIMULA).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유클리드
유클리드 원론 표지
유클리드(Euclid), City Hall Building
유클리드거리
유클리드,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 원론에 따른 황금비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의 원본
유클리드 원론 라틴어 번역본
유클리드 원론의 한 페이지
옥스퍼드대 자연사박물관의 유클리드 동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