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황자총통 黃字銃筒
    수 있다.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아산 현충사, 경남대학교 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중 보물 제886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황자총통은 1587년(선조 20)에 청동으로 제조된 것으로, "萬曆丁亥四月黃字重三十一斤八兩匠富貴"라는 명문이 적혀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보원사지출토철불좌상
    높이 25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거불로 두 손이 결실되었으나 항마촉지인을 취했던 것으로 보인다. 머리는 나발이고, 넓적한 얼굴에 눈이 가늘고 길며 코와 입이 유난히 작고, 아래턱을 안으로 당기고 앉은 표정이 인상적이다. 법의는 우견편단으로 입었는데, 얇고 몸에 밀착되어 몸의 굴곡이 드러나 보인다. 옷주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변상벽 완보, 卞相璧
    일컬어졌다 한다. 1763, 1773년 영조의 어진을 그렸다. 윤급(尹汲)의 반신상이 전하지만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대표작인 〈묘작도 描雀圖〉(국립중앙박물관)는 고양이 2마리가 나무를 오르내리며 참새를 놀래주는 장면을 섬세한 필치로 실감나게 표현했다. 이는 일상생활 속에서 동물에 대한 깊은 애정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佛說大報父母恩重經
    평양 광법사(廣法寺)에서 판각한 것으로 원래 포배장본(包背裝本)이었던 것을 다시 권자본(卷子本)으로 개장(改裝)한 것이다. 「천혜봉(千惠鳳)」 (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보물, 1992년 지정). 1권 1첩. 목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432년(세종 14) 태종의 후궁인 명빈김씨(明嬪金氏)의 발원으로 간행되었다. 권말...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선형산신사금동보살입상 船形山神社金銅菩薩立像
    3개의 화식(花飾 : 꽃 장식)이 붙어 있는 높은 보관을 쓰고, 관대(冠帶 : 관의 띠)에서는 두꺼운 끈[紐]이 양어깨에 드리워져 있다. 이러한 보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금동미륵보살반가상(국보, 1962-2 지정)의 높은 보관보다 좀더 진전된 형식이다. 또한 부여 군수리금동미륵보살입상(보물, 1963년 지정)과...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불상
    유형 :
    유물
    크기 :
    전체 높이 19.4㎝, 불상 높이 15㎝
    제작시기 :
    삼국시대
    분야 :
    예술·체육/조각
    소장/전승 :
    일본 궁성현(宮城縣) 선형산 신사
  • 정도사지오층석탑 보물 제357호, 淨寺址五層石塔
    보물 제357호. 높이 460㎝.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원래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 정도사지에 있던 것을 1924년 경복궁으로 옮겼다가 1994년 국립중앙박물관 정원으로 이전하였다. 이때 탑 안에서 형지기(形止記)와 함께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이 탑은 기단부의 갑석과 옥개석이 두껍고 탑신의 체감비율이 작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보물
  • 한국의 칠기
    통해 확인되었다. 명문칠기·목심칠현·화형칠장식·목심칠기·주칠빗 등이 주요유물이며, 칠기류의 대부분은 내주외흑(內朱外黑)으로 되어 있다. 특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금은평탈보상화문경(金銀平脫寶相華紋鏡)과 백동금은평탈경(白銅金銀平脫鏡)이 주목된다. 평탈이란 〈삼국사기〉에 '평문'(平文)이라 기록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유덕장 柳德章
    간단하게 선으로만 그리거나 음영을 조금 넣고 끝이 뾰족한 수직점을 찍었다. 그러나 대나무를 묘사하는 필치와 먹의 농도조절에서는 김정희(金正喜)가 지적했듯이 이정의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현재 〈설죽 雪竹〉(간송미술관)·〈설죽도 雪竹圖〉(국립중앙박물관)·〈신죽도 新竹圖〉(국립중앙박물관) 등이 전한다...
    출생 :
    1675(숙종 1)
    사망 :
    1756(영조 3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군선도 群仙圖
    공간개념과 경물과 인물의 배치에서 보이는 평면적 효과는 같은 시기에 제작된 민화와 유사하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윤덕희(尹德熙)의 〈군선경수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의 〈군선도〉(호암미술관 소장), 작가미상의 〈요지연도〉·〈반도회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파상군선도〉(세종대학교박물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화 , 미술
  • 윤덕희 尹德熙
    무후진성도 武侯鎭星圖〉·〈미인기마도 美人騎馬圖〉를 비롯한 일련의 작품들은 그가 부친의 화풍을 성실히 추종했음을 보여준다. 산수화는 〈산수인물도〉(국립중앙박물관)와 같이 전통성이 강한 작품과 남종화풍의 작품, 그리고 〈도담절경도 島潭節景圖〉와 같은 실경산수화도 남겼다. 인물화는 〈진무상 眞武像...
    출생 :
    1685(숙종 11)
    사망 :
    1776(영조 5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전충효 묵호(墨豪), 全忠孝
    한다. 그의 유작 중에서 「수작도(水鵲圖)」(개인소장)는 조속(趙涑)의 사의적(寫意的)인 수묵화조화풍(水墨花鳥畫風)을 따랐으며, 「매도(梅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에서는 힘있는 묵은 가지와 새로 돋은 잔가지가 대조를 이루고 있는 등, 조선 중기 매화도의 전통을 잇고 있다. 이밖에 검은 바탕에 금니(金泥)로...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
    직업 :
    화가
    대표작 :
    괴석초충도, 묵매도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홍수주 洪受疇
    열매를 잘 표현해 입체감과 변화감이 크다. 이러한 특징은 조선후기 최석환(崔奭煥) 등에 의해 계승되었다. 묵매에서는 어몽룡(魚夢龍)과 조속(趙涑)의 영향이 보인다. 〈묵매도 墨梅圖〉(1704, 국립중앙박물관)와 〈묵포도도 墨葡萄圖〉(국립중앙박물관)·〈포도도〉(간송미술관) 등이 전한다. 문집으로 〈호은집〉이...
    출생 :
    1642(인조 20)
    사망 :
    1704(숙종 30)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29건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 중앙 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백자 철화 포도 원숭이 무늬 항아리
선조임금이 쓴 당나라 오·칠언시 병풍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