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황자총통

다른 표기 언어 黃字銃筒

요약 조선시대에 손으로 불씨를 점화시켜 발사하는 유통식 화기.

천자·지자·현자 총통과 같은 종류인데, 그중 황자총통이 가장 소형으로 주조되어 이동하기 편리했으며 그 형태도 다양했다. 태종 때 중국 화포제도를 따라 군기감에서 처음 제조되었는데, 세종 때 크게 개량되었다. 화살[箭]을 편리하게 쏘거나 탄환의 사정거리를 늘리는 데 필요한 고하의 조정을 위해, 또 포를 포가나 뱃전에 설치하여 방포 태세를 갖추기 위해 부분장치를 했다.

황자총통

황자총통, 길이 64.4cm,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소장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화포식언해〉 황자총통조에 의하면, 중약선은 반조, 화약은 3냥, 격목은 3촌이며, 피령전을 발사하면 1,100보에 이르고 탄환을 발사할 때는 1번에 철환 40개를 발사할 수 있다.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아산 현충사, 경남대학교 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중 보물 제886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황자총통은 1587년(선조 20)에 청동으로 제조된 것으로, "萬曆丁亥四月黃字重三十一斤八兩匠富貴"라는 명문이 적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황자총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