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덕장

다른 표기 언어 柳德章
요약 테이블
출생 1675(숙종 1)
사망 1756(영조 32)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묵죽화가.

본관은 진주. 자는 자고·성유, 호는 수운·가산. 묵죽화를 잘 그렸다는 진동의 6대손이며, 아버지는 사간 성삼이다.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조선 중기의 이정(李霆), 후기의 신위(申緯)와 함께 조선시대 3대 묵죽화가이다. 동시대 인물인 신광수(申光洙)가 〈석북집 石北集〉에서 그의 묵죽화에 대하여 "당세의 짙푸른 수운의 대나무는 속세를 벗어났으며 그 기세가 높다"라고 했다.

그는 이정의 묵죽화풍을 답습했다고 한다. 즉 먹의 대조를 통해 대나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수법과 통죽을 그리는 데서 그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대나무 밑의 토파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이정보다 간단하게 선으로만 그리거나 음영을 조금 넣고 끝이 뾰족한 수직점을 찍었다. 그러나 대나무를 묘사하는 필치와 먹의 농도조절에서는 김정희(金正喜)가 지적했듯이 이정의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현재 〈설죽 雪竹〉(간송미술관)·〈설죽도 雪竹圖〉(국립중앙박물관)·〈신죽도 新竹圖〉(국립중앙박물관) 등이 전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화가

화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유덕장


[Daum백과] 유덕장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