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보물 조회순 목록
-
오죽헌 (보물 제165호, 烏竹軒)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죽헌동에 있는 조선 초기의 별당건축. 보물 제165호. 이 건물은 1452년(문종 2)에 등제하여 대사헌까지 지낸 최응..
-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 여래 좌상 (팔공산 갓바위 불상, 慶山 八公山 冠峰 石造 如來 坐像)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팔공산 관봉에 있는 석조여래좌상. 196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팔공산(八公山) 관봉(冠峰, ..
-
서울 흥인지문 (동대문(東大門), 서울 興仁之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에 축조된 한양도성의 동쪽 성곽문.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흥인지문(興仁之門)은 조선시대 한양..
-
경국대전 (經國大典) 『경제육전』의 원전과 속전(續典), 그리고 법령을 종합해 편찬한 조선시대 기본 법제서. 세조는 즉위하자마자 새로운 법령이 계속 쌓이고 그것들..
-
흥인지문 (보물 제1호, 興仁之門) 서울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문.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며, 속칭 '동대문'이라 부른다. 본래 ‘흥인문’이었으나 풍수지리상 한양의 동쪽..
-
경포대 (鏡浦臺)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후기 강원도 존무사 박숙정이 건립한 누정. 누각·조경건축물. 보물. 정면 5칸, 측면 5칸의 팔작지붕건물. 2019..
-
강릉 오죽헌 (江陵 烏竹軒) 강릉 오죽헌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있는 조선전기 율곡 이이 관련 주택이다.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율곡 이이가 태어난 몽룡실이 있는 별당..
-
선죽교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159호, 善竹橋) 옛 이름은 선지교이다. 919년 고려 태조가 하천정비의 일환으로 축조한 것이다. 고려말 정몽주가 철퇴를 맞아 숨진 사건 이후에 유명해졌다. ..
-
하피첩 (정약용 필적 하피첩, 霞帔帖) 다산 정약용이 강진에서 귀양하던 때 부인이 보내준 치마로 만든 서첩. 자신의 두 아들에게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을 적은 편지글이 정약용의 필체..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제비원 석불)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은 원래 연미사가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에 위치하며, 근래에 ‘제비원’이라는 암자가 새로 들어서 일명 ‘제비원 석불‘이..
-
백범일지 (白凡逸志) 독립운동가이며 역사학자인 백범 김구가 1929년 상해와 1942년 충칭에서 집필한 자서전. 1947년 12월 15일 도서출판 국사원(國士院)..
-
향원정 (보물 제1761호, Hyangwonjeong)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조선시대 궁궐 경복궁 안에 있는 2층 정자. 고종이 건청궁에 기거하던 1867년 경회루 서북쪽에 연못을 파고..
-
광한루 (보물 제281호, 廣寒樓)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목조누각. 보물 제281호. 조선시대의 재상 황희가 남원에 유배가서 1418년 현재보다 규모가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