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 generative grammar과정으로서, 어지러운 수정이 되어 있는데, 문법의 틀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이 이론의 출현에 따라, 그것까지의 귀납주의적인 방법론에 의거하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패러다임은, 새 인지적인 시점에 의거하는 생성문법의 패러다임으로 취해 바뀌었다. 〈참조어〉 일반구구조문법, 어휘기능문법, 생성 문법, 보편...
- 분야 :
- 계산언어학
-
위노그래드 A. T. Winograd개발했다. 그러나 차츰 인공지능에 대한 회의가 깊어져, 현재로서는 철학자 드레이푸스(Dreyfus, F.)와 함께 반인공지능파의 대표가 되고 있다. 하이데거 철학, 구조주의 생물학의 영향하에 그의 비판은 주로 인공지능의 소박한 표상주의나 기호주의에 향해져 있다. 주된 저서로 “Understanding Natural Language...
- 출생 :
- 1946년 02월 24일
- 국적 :
- 미국
- 분야 :
- 인명/역사
-
박희범 내남(乃南), 朴喜範그의 학문적 입장은 「경제개발과 경제체제」 또는 「제도변혁과 구조변혁」 등의 논문에서 보듯 제도학파에 더 가까웠고 기능주의를 배척하고 구조주의를 지지하였으며, 선진국경제이론을 무비판적으로 한국경제에 적용하려는 학계 일부 동향을 날카롭게 공격하였다. 주요 저서로는『한국경제성장론』(1970) 이외에...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2년
- 사망 :
- 1981년
- 경력 :
- 문교부차관, 충남대학교총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대표작 :
- 한국경제성장론
- 성별 :
- 남
- 분야 :
- 교육/교육
- 본관 :
- 밀양(密陽)
-
긍정심리학 부정에 치우친 심리학의 균형을 잡으려는 새로운 시도영감, 희망, 호기심, 웃음, 행복, 명상, 웰빙 등을 연구한다. 따지고 보면 인간의 긍정성에 관심을 두었던 심리학의 흐름은 예전부터 존재해왔다. 기능주의(구조주의 vs. 기능주의 참조) 창시자 제임스는 1902년, 자신의 글에서 ‘건강한 마음’에 대해 언급했으며, 인간주의자 매슬로도 “심리학자는 병든 사람 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