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박종식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출생 전남 고흥, 1913

요약 북한의 평론가.

주요 평론을 살펴보면 〈신이론〉(1949), 〈박연암의 사실주의 문학〉(1955), 〈우리나라 작시체계의 운율적 기초〉(1958), 〈우리나라에 있어서 낭만주의 문학의 전통과 혁명적 낭만성〉(1960), 〈우리문학에서 주체의 확립과 민족적 특성〉(1961), 〈서정시와 현대성〉(1961), 〈항일혁명투사의 진실한 성격창조를 위하여 제기되는 문제〉(1961), 〈다산의 시와 현대성〉(1962), 〈문학정신과 단편소설의 특성〉(1962), 〈우리나라에서 비판적 사실주의의 발생〉(문학신문, 1962. 8. 28), 〈계급교양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제문제〉(1964), 〈조국통일주제와 우리 문학〉(1964), 〈장편소설과 노동계급의 형상〉(1964), 〈새시대의 문학〉(1964), 〈작가와 창작적 개성-투사-인간을 그리자〉(1966) 등으로 주로 1960년대에 가장 활발한 작품활동을 보였다.

사실주의 발생 발전 논쟁이나 민족적 특성 논쟁, 북한 문학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논의 등으로 1960년대까지 북한 비평사의 중심에 서 있었다. 1970~80년대에 활동이 뜸했으나 1990년대초에 미국에서 미주민족문화예술인협의회가 발행했던 〈통일예술〉에 김지하의 시집 〈별밭을 우러르며〉를 평한 글을 실었다.

1993년 〈조선문학〉 6월호에 발표한 〈남조선에 유포된 구조주의 문학이론의 반동성 구호 해설〉(1993) 등을 통해 원로 비평가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저서로 〈문학개론〉(1960)과 평론집 〈새시대와 문학〉(1964)을 펴낸 바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박종식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