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곶감섬유질 15%, 회분 1.99%로 되어 있다. 곶감은 그대로 먹기도 하고, 곶감에 호두를 싸서 곶감쌈을 만들기도 한다. 실백을 박아 숙실과(한과를 말함)이나 생실과(생과일)에 곁들여 놓기도 할 뿐 아니라, 수정과의 주원료이기도 하다. 옛날에는 손님 접대용과 노인이나 어린아이의 간식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참고문헌
- 성격 :
- 음식, 건과류
- 유형 :
- 물품
- 재질 :
- 감
- 용도 :
- 식생활, 간식용, 의례용
- 관련 의례 :
- 혼례
- 분야 :
- 생활/식생활
-
장도장 粧刀匠마련이다. 특히, 장도집과 자루 등 외부에 노출된 부분에 뿔과 쇠뼈 · 화류 · 먹감나무를 비롯하여 금 · 은 · 밀화(密花) · 대모(玳瑁) · 상아 · 수정과 같은 고급재료를 써서 각종 문양을 조각하거나 상감하였다. 종류는 외형에 따라 첨사도 · 네모도 · 을자도(乙字刀) · 을자맞배기 · 평맞배기 등으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感恩寺址 西 三層石塔 舍利莊嚴具공예품이다. 특히 감은사지 서 삼층탑 출토품은 왕실의 후원에 힘입어, 당시 최고의 장인이 참여하여 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현존 유물도 금이나 수정과 같은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여, 우수한 세공기술로 완성되었다. 따라서 통일신라 왕실미술과 불교공예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장국상 醬국床강정 · 약과 · 다식과 · 만두과 등이 쓰이고, 화채로는 봄 · 가을에는 오미자화채 · 배화채, 여름에는 앵두화채, 복중에는 수단, 겨울에는 식혜 · 수정과 등을 쓴다. 상차림은 1인용 외상이 기본이고 겸상차림까지 한다. 상은 보통 사각반 · 팔각반 등이 쓰이고 음식 배열은 [그림]과 같이 한다. 국수장국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식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