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일루미나티

다른 표기 언어 Illuminati 동의어 바이에른 광명회, Illuminatenorden Bayern, 광명회, Der Illuminatenorden

요약 18세기 바이에른 선제후국에서 설립된 비밀결사. 현대에는 각종 음모론과 관련하여 언급되고 있다.

개요

18세기 현 독일 지역의 바이에른 선제후국각주1) 에서 설립된 비밀결사의 명칭이다. 1776년 5월 1일 바이에른 잉골슈타트 대학에서 실천철학을 가르치던 아담 바이스하우프트(Adam Weishaupt, 1748-1830)가 만들었다. 일루미나티(Illuminati)란 ‘빛나는, 찬란한, 비추는’ 혹은 ‘계몽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일루미나투스(illuminátus)의 복수형으로 ‘계몽하는(깨달은) 자들’이란 뜻이다. 한국어로는 바이에른 광명회(光明會)라고도 한다.

현대에 일루미나티는 각종 음모론과 연계되어 정치적 권력과 영향력을 가지고 은밀히 활동하는 단체로 언급된다. 음모론이란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킨 사건의 배후에 거대 권력이나 조직 등이 있다고 여기는 소문을 말한다. 대개 혼란스러운 시기나 사건의 원인을 명확히 설명하기 힘들 때 주로 유포된다. 일루미나티 역시 큰 사건이나 인물과 관련하여 다양한 음모론의 주체로 언급된다. 전 세계에 어두운 영향력을 행사하는 거대 단체 혹은 그림자 정부로서의 일루미나티의 이미지는 소설과 영화, 만화, 게임 등 각종 대중문화에서 활용되고 있다.

섭리의 눈(Eye of Providence)

세상을 내려다보는 신의 눈을 상징한다. 프리메이슨과 일루미나티의 상징으로도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일루미나티와 관련이 없다. 본래 기독교 상징으로 삼각형은 삼위일체를 의미한다.

ⓒ napocska/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사

일루미나티를 창설한 아담 바이스하우프트는 잉골슈타트 대학교에서 실천철학과 교회법을 가르치던 교수였다. 당시 유럽은 17세기부터 확산된 계몽주의가 강력히 대두한 시기다. 1776년 5월 1일 아담 바이스하우프트는 계몽주의 사상에 따라 바이에른 일루미나티를 창설했다. 기독교 중심의 절대 왕정 체제를 전복하고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계몽주의는 인간의 이성과 무한한 진보를 믿고 사회를 개혁하는데 목적을 두었던 반봉건적 합리주의 사상이다. 프랑스어로 계몽주의는 ‘빛난다’는 뜻의 ‘Lumière’로 계몽주의 시대는 ‘Siècle des Lumières(빛의 세기)’라 한다. 빛이 비추어 어둠을 밝히듯 무지(無知)에서 벗어나 앎의 세계로 나아간다는 의미다.

설립배경

잉골슈타트 대학교는 예수회가 1550년대 세운 대학이다. 예수회는 1540년 정식 수도회로 승인받은 후 전 세계적으로 선교 분야에 뛰어난 활약을 보인 가톨릭 사제 수도회다. 설립 10년 만에 30여 개 대학을 설립하는 등 빠르게 성장했으며 18세기 중반에는 600여 개의 대학과 170여 개의 신학교를 운영할 정도로 발전했다. 그러나 교황을 강력하게 지지하고 종교개혁을 비판하는 예수회의 활동은 반가톨릭파와 교황 반대자들의 반발을 받았다. 결국 1773년 8월 예수회 탄압을 요구하는 부르봉(Bourbon) 왕가와 강대국들의 압력을 받은 교황 클레멘스 14세가 예수회 폐지 교서를 반포하면서 해체되었다. 이후 1814년 교황 비오 7세가 예수회를 복원하면서 20세기 들어 다시 크게 발전하게 된다.

아담 바이스하우프트는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예수회 교육을 받고 자랐다. 아버지가 일찍 사망하면서 대부이자 잉골슈타트 법대 교수였던 이크슈타트 남작(Johann Adam von Ickstatt)이 그를 양육했기 때문이다. 이크슈타트 남작은 합리주의자이자 계몽주의의 대변인으로 알려진 크리스티안 볼프의 철학을 지지했으며 이는 바이스하우프트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일루미나티 설립자인 아담 바이스하우프트(1748–1830)

ⓒ Christoph Wilhelm Bock (1755–1835) | Public Domain

바이스하우프트는 잉골슈타트 대학교에서 흔치 않은 비(非)사제 교수였다. 잉골슈타트 대학교는 예수회 소속으로 예수회가 해산되기 전까지 예수회 사제들이 교수직을 독점했기 때문이다. 사제가 아니었던 바이스하우프트는 1773년 예수회가 해체되면서 잉골슈타트 대학의 교수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예수회는 해산 이후로도 학교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이런 상황은 합리주의적 성향을 가진 바이스하우프트에게 계몽주의 이상을 퍼트리기 위한 단체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을 것으로 보인다.

바이스하우프트는 일루미나티 설립 전인 1775년 뮌헨 프리메이슨 지부에 들어갔다. 프리메이슨은 중세 석공 길드에서 시작한 비밀결사 단체다. 본래 노동자 단체로 시작되었으나 16~17세기 명예회원이 늘면서 도덕성과 준법, 박애주의를 지향하는 단체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바이스하우프트가 입회할 당시 독일 프리메이슨은 이상을 추구하기보다는 친목 단체에 가까웠으며 실망한 그는 얼마 되지 않아 단체를 탈퇴했다.

창립

1776년 5월 1일 바이스하우프트는 몇 명의 학생들과 공화주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조직인 ‘완벽추구자 종단(Bund der Perfektibilisten)’, 즉 바이에른 일루미나티를 설립했다. 단체의 상징은 지혜를 뜻하는 미네르바의 부엉이각주2) 로 정했다. 일루미나티 관련 문서에서는 열린 책 위에 앉은 미네르바의 부엉이를 찾을 수 있다. 흔히 일루미나티의 상징으로 알려진 ‘섭리의 눈(Eye of Providence)’각주3) 은 기독교 상징으로 일루미나티와는 관계가 없다.

바이에른 일루미나티 초기 팜플렛(1788)

아래쪽에 그려진 열린 책 위에 앉은 미네르바의 올빼미는 일루미나티의 상징이다.

ⓒ Okänt | Public Domain

바이스하우프트는 프리메이슨처럼 로지(Lodge)를 중심으로 단체를 구성하고 회원을 모집했다. 로지는 중앙조직이 아닌 해당 지역 회원들에게 허가를 받아 세워지는 일종의 지부(支部)다. 초기 일루미나티는 수련자(Novice), 미네르발(Minerval)각주4) , 일루미네이티드 미네르발(Illuminated Minerval)의 세 단계 회원 등급이 있었으며 미네르발 등급 이상이 되면 비밀 표식과 암호를 얻었다. 초기 회원들은 자신들을 ‘완벽을 추구하는 자’라는 뜻의 ‘퍼펙티빌리스트(Perfektibilist)’로 칭했으며 본래 이름 대신 별칭을 만들어 사용했다.

사상

일루미나티는 계몽주의적 시각에서 공화주의 이상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공화주의란 사적 이익보다 공적 이익을 중요시하는 사상이다. 개인 권리보다는 공공선(公共善)에 대한 헌신과 시민의 정치 참여, 시민으로서 갖춰야 하는 덕을 강조한다. 17~18세기 몽테스키외와 루소 등으로 이어지는 공화주의는 1789년 일어난 프랑스 대혁명의 사상적 기초이기도 하다.

바이스하우프트는 일루미나티 회원들이 최고 수준의 인류애와 도덕성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교육을 통해 올바른 도덕성을 갖춘 인물이 권력을 가져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음모론의 주체로 알려진 현대 일루미나티의 이미지와 달리, 실제 일루미나티는 시민으로서의 미덕과 도덕성을 가지고 사회 정의를 실천할 것을 주장하는 단체였다. 일루미나티는 합리적 사고를 통해 미신을 타파하고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전제군주 체제에서의 국가 권력 남용에 반대하고 평등과 자유를 중시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확산과 해산

일루미나티는 창립 이후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초기에는 프리메이슨을 통해 회원 모집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큰 소득은 얻지 못했으며 대부분 회원은 개인 차원에서 모집을 이어갔다. 특히 일부 강력한 재력가들이 후원하기 시작하면서 일루미나티는 독일 전역으로 확산했으며 오스트리아, 프랑스, 이탈리아, 폴란드, 스위스, 영국 등 유럽 곳곳에 지부가 만들어졌다. 약 십여년 간 일루미나티는 유럽에서 2,000~3,000명 정도의 회원을 확보했다. 회원들은 대부분 진보적 사상을 가진 철학자, 작가, 정치인, 귀족 등으로 그중에는 프로이센의 육군 원수였던 페르디난드 공작각주5) 이나 외교관 프란츠 크사퍼 폰 츠박(Franz Xaver von Zwack, 1756-1843), 저술가 아돌프 크니게(Adolph Freiherr Knigge, 1752-1796) 등이 있었다. 일부 회원들은 프리메이슨 회원을 겸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루미나티는 세력이 성장하면서 정부와 교회의 탄압을 받았다. 강력한 왕권을 중심으로 하는 절대왕정과 기독교 중심의 기존 체제를 전복하고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일루미나티 회원들은 기존의 부패한 정부와 교회 대신 새로운 세력이 필요하다는 사상을 토론했다. 자유와 평등을 추구하는 새로운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일루미나티의 주장은 기득권 세력에게 급진적이고 위험한 사상으로 받아들여졌다. 또한, 일루미나티 내부에서 회원들 간 불화가 일어난 것도 불안요소로 작용했다. 결국, 1785년 6월 바이에른 정부는 일루미나티를 해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바이스하우프트는 교수직을 박탈당하고 타국으로 도피했으며 프란츠 크사퍼의 집이 수색되면서 많은 문서가 공개되었다. 일루미나티는 탄압을 피해 지하조직으로 활동을 이어갔으나 1790년 무렵에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해산 후

공식 해체한 이후로도 일루미나티가 암암리에 활동한다는 소문은 계속되었다. 1797-98년 프랑스 예수회 신부인 아우구스틴 바루엘(Augustin Barruel, 1741-1820)은 프랑스 혁명이 반기독교, 반군주제 집단에 의해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회고록각주6) 을 발표한다. 바루엘은 회고록에서 프리메이슨과 일루미나티를 반사회적 단체라 칭했으며 이들이 프랑스 혁명의 배후라고 주장했다. 회고록은 영문판으로도 발간되었으며 이 책을 계기로 유럽과 미국에 프리메이슨과 일루미나티의 반사회적 이미지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음모론

현대 일루미나티는 각종 음모론과 연계하여 소개된다. 그러나 바이에른 일루미나티는 이미 1790년경 해체되었으며 현대 일루미나티가 존재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 음모론자들은 18세기 일루미나티가 바이에른 정부에 탄압받을 때 독일 유대계 가문인 로스차일드 가문각주7) 이 프리메이슨 조직을 사들인 뒤 일루미나티로 만들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로스차일드 가문이 일루미나티와 함께 막대한 부를 앞세워 각종 전쟁과 테러, 경제난 등을 일으켜 전 세계를 공황에 빠트린 뒤 새로운 세계 정부를 수립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프랑스 혁명이나 워털루 전투,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의 암살 등의 사건에 일루미나티가 개입되었다고 주장한다.

일루미나티가 해체한 뒤 지하에서 활동하던 단원들이 기존 프리메이슨 조직과 결합하여 현재까지도 각국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유럽의 일루미나티 추종자들이 미국을 건국했다고 주장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 경우에도 프리메이슨 음모론과 뒤섞여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 강력한 권력을 가진 엘리트 지하조직이 있으며 이들이 세계 경제와 정치를 좌지우지한다는 주장이다.

일부 음모론자들은 일루미나티가 악마숭배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유명인사들과 연계하여 음악이나 영상 등 대중매체를 통해 사회를 타락하게 하려 한다는 음모론이다. 그 근거로 자주 등장하는 것이 일루미나티 상징으로 알려진 섭리의 눈이다. 그러나 섭리의 눈은 본래 기독교 상징으로 삼각형으로 둘러싸인 눈은 삼위일체와 세상을 내려다보는 신의 시선을 의미한다. 기독교와 대립하는 일루미나티의 이미지는 과거 반기독교 성향을 가지고 있었던 바이에른 일루미나티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한편, 전 세계에 어두운 영향력을 행사하는 거대 단체로서의 프리메이슨과 일루미나티의 이미지는 영화나 소설, 만화 등 여러 대중문화에서 활용되고 있다.

관련 도서

관련 영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일루미나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